2025/04/16

미나리 효능 및 재배방법

미나리
 

미나리

학명 : Oenanthe javanica  분류 : 미나리과 미나리속
원산지 : 유라시아, 열대아프리카  영명 : water dropwort

미나리는 아시아 원산의 다년생 초본 식물로,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랍니다. 
전 세계에 2,600여 종이 있으며, 한국에는 약 80여 종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근채', '수채' 등의 이름으로도 불립니다.

주요 특징
- 서식지: 습지, 도랑, 논 등
- 분포: 한국, 만주, 인도, 동남아시아 등지
- 다양성: 한국에는 강활, 기름나물 등 포함

이용법
미나리는 초봄부터 초여름까지 제철이며, 신선한 잎과 줄기를 살짝 데쳐 국, 무침, 전골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됩니다.

효능
- 청혈, 해독 효과로 신경통, 류머티즘, 혈압 강하에 도움.
- 비타민 A, B, C 함유로 영양 보급원 역할.
- 정유 성분으로 발한, 보온, 이뇨 효과.
- 식욕 촉진, 변비 개선에 유용.
- 갈증 해소 및 피 정화.
- 피부 문제(땀띠) 및 마진 완화.
- 혈압 강하, 해열, 진정 작용.


미나리 재배 방법

미나리는 특유의 맛과 향의 채소입니다. 
미나리의 재배시기는 3월 하순부터 6월까지 심기에 적합합니다.
텃밭, 베란다 텃밭, 또는 노지등 특별히 환경을 가리지 않아 어렵지 않게 재배 가능합니다.

재배 방법
준비된 미나리 모종 줄기를 5~10cm 길이로 잘라줍니다.
줄기의 아랫부분 잎을 제거하고 흙에 꽂아줍니다.
물을 충분히 주고 햇볕이 잘 드는 곳에 놓아둡니다.
약 2주 후 뿌리가 내리면 본밭에 옮겨 심습니다.
물 관리 : 논미나리는 항상 물이 차 있어야 하며, 돌미나리는 겉흙이 마르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물을 줍니다.
정식간격 : 모종 심는 간격은 10~20cm가 적당합니다.

관리 및 수확
관리: 미나리는 생명력이 강하며 추위에도 잘 견디는 작물입니다. 충분한 물과 햇볕을 제공하면 건강하게 자랍니다.
수확: 미나리는 여러해살이 작물로, 한 번 심으면 오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확할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5/04/15

주방 싱크대(씽크대,sink) 관리 방법

싱크대-sink


 상판 관리법

1. 스텐레스 관리요령
스텐레스 본래의 질감과 색상를 계속해서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부드러운 수세미에
세제를 사용하여 물 때를 제거하면 된다.
이렇게 물때만 잘 제거해도  스텐레스의 장점인 시각적 미려함과 산뜻한를 계속해서 유지할수 있다

2. 인조대리석
인조 대리석의 표면 강도가 천연 대리석 보다 낮기 때문에 사용시 거친 수세미를 힘을 주어 사용하면
표면에 글킴이 생길 수 있으므로 부드러운 수세미을 사용하여야 하며 
열판이 붙착되어 있는 조리기구와 용기는 깔판을 사용하여야 된다.
상판에 뜨거운 것을 바로 올려 놓게 되면 제품의 파열과 색상이 변색 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부주의로 인하여 제품이 파열 되였을때는 바로 A/S를 받아야 된다.
깨어진 상태에서 계속 사용하게 되면 깨어진 틈으로 이물질이 들어가 
처음 생태로의 복원에 어려운점이 있으며 시간이 흐를수록 계속해서 깨지며 틈이 커지게 된다.

3. PT 라미네이트 (언더)상판 관리요령
합판 표면에 다양한 색상의 라미레이트를 접착제로 붙착하여 만든 제품으로 거친 수세미를 힘을 주어 사용하면 라미네이트 표면이 마모 되어 색상이 지워 지므로 부드러운 수세미를 사용하여야 하며 열판이 붙착되어 있는 조리기구와 용기는 깔판을 사용여야 된다.
상판에 뜨거운 것을 바로 올려 놓게 되면 상판의 색상이 변하거나 열에 의하여 펑하는 소리가 나면서 라미네이트 표면이 분리되어 복원이 불가능하다. 또한 상판 위쪽에 물기가 많이 있을 때는 조립 부분에 물이 침투하여 습기에 의해서 라미네이트가 분리될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4. 경첩 구조 및 조절하는 방법
경첩은 4개지 부분으로 되어 있다고 볼수 있다.
문짝에 비트로 체결하여 문짝이 5 ~15 각도에 자동적으로 닫힐수 있는 본체와 제품의 몸통쪽에 붙착 되는 마운틴 마운틴과 본체를 체결할수 있는 체결볼트 본체쪽에 체결되어 있어 문짝 간격을 조절할수 조절 볼트가 있다. 문짝에 2~4개의 경첩이 붙착 되어 있지만 대부분 2개가 부착 되어 있다. 
상부와 하부의 문짝 틈 간격에 따라 본체쪽에 체결되어 있는 조절 볼트를 드라이버로 좌측 또는우측으로 돌려 문짝의 간격을 조절할수 있다.
문짝의 흔들림이 있거나 문짝이 빠져나와 분리되었을 때는 경첩의 본체와 마운틴을 결합하는 체결 볼트가 풀려 있어서 그러함으로 브라이버로 경첩의 본체와 마운틴이 움직이지 않도록 체결 볼트를 꼭 조여주면 된다.


악취방지법

저녁 설거지 후 배수구에 뜨거운 물을 부어주면 악취제거 및 살균효과가 있다.
또는 주방용 크리너를 이용해서 솔이나 칫솔로 닦아주고 식초와 물을 희석하여 흘려 부으면 악취가 사라진다.
배수구에 물때나 이물질로 더렵혀 졌을 경우 끊는 물을 붓고 식초를 약간 뿌려준다. 그런 다음에 솔이나 칫솔이나 칫솔로 닦아 내면 쉽게 닦아진다.
기름기가 많은 음식물은 가급적 분리하여 사용하되 부득이 사용했을 경우 주방크리너를 이용해서 솔 이나 칫솔 등으로 닦아낸 후 식초물을 희석해 흘려 부으면 장기간 악취없고 깨끗한 배수구가 유지된다.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오염된 배수구 및 호스 변색된 배수구의 경우 교체 후 상기 방법으로 유지 관리 하면 오랫동안 악취방지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배수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배수구가 막혔을 때

배수가 되지 않고 막히는 것은 호스에 오물이 달라 붙어 막히거나 기름때나 찌꺼기가 눌러붙어 관이 좁아졌기 때문이다.
이때는 배수구를 분해해서 청소하거나 교체하면 된다.
1) 배수구의 분해 방법은 간단하다
먼저 걸름망(오물통)을 들어 낸다. 그 다음에 배수구(통)안에 있는 악취방지캡을 돌려 뺀다. 대형배수구의 악취방지 캡은 배수구 안쪽바닥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왼쪽으로 약간 돌려 분리되면 빼어낸다.
(조립시 반대) 중소형배수구의 악취방지캡은 스텐조임카바에서 오물통과 마찬가지로
위로 들어올려 빼어낸다.(조립시 반대) 악취방지캡 부근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2) 그 다음에 씽크볼과 배수구, 배수구와 호스, 배수구와 오버플로우 호스를 분해하면 된다.
각각 연결부위의 너트를 손으로 돌리면 쉽게 분해됨 분리한 호스는 청소를 해주고 오물이 너무 많이 끼었을 때는 교체하는 것이 좋다.


하수구가 막혔을 때

1) 가성소다 500g을 끊는물 4리터에 섞어 수채구멍에 붓는다.
이때 화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하여 부어넣는다. 기름기가 많이 끼어 있는 경우에는 시중에 판매되는 트레핑(드레인오프너)를 사용한다.
배수구에 직접 사용시 배수구 변형 및 파손의 원인이 되니 수채구멍에 바로 사용할 것.
2) 베이킹소다와 식초 사용법
베이킹소다 반컵을 부어 넣고 바로 식초 반컵을 부어 넣은 뒤 거품이 생기면 수채구멍 뚜껑을 닫다둔다.
몇분 지난후 끊는물을 부어넣는다. 베이킹소다와 식추가 섞여서 지방산을 글리세린과 비누질을 바꾸어 막힌 구멍이 뚫리게 된다.
이 방법은 시판되는 트레펑 등의 드레인 오프너와 같이 사용해서는 안됨.
3) 소금과 베이킹소다
소금반컵과 베이킹소다 반컵을 수채구멍에 넣은 후 끊는 물 6컵을 부어넣는다.
하룻밤이 지난후 물로 씻어낸다. 뜨거운 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청결위생법

1) 씽크개수대
날마다 빈번하게 사용하는 곳으로 꼼꼼한 관리가 필요함. 설거지 끝난 뒤에는 중성세제로 깨끗히 닦는다.
개수대나 벽 주위도 때가 잘 끼므로 수시로 닦아준다. 살균세제로 한번 더 소독해 불쾌한 냄새를 없앤다.
2) 배수구
오물통과 악취방지캡을 들어낸 후 끊는물을 붓고 물때나 이물질은 주방용크리너를 이용해서 한달에 한번 정도 솔이나 칫솔로 닦아준다.
3) 배수구 오물통
음식물 찌꺼기가 끼어 있으면 세균의 온상이 되기 쉽다. 설거지를 끝낸후 신문지를 깔고 칫솔로 오물통 홈파인 곳에 낀 더러운 물질을
털어내고 닦아준다. 배수구 전용 스펀지나 수세미에 중성세제를 묻혀 오물통을 닦아준다.
수시로 끊는물을 부어주면 살균 및 악취제거에 효과적이고 배수구 막히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배수구 각 부위 청소방법 및 관리 요령

1) 배수구통
배수구 뚜껑과 오물통을 분리 들어낸 후 악취방지캡을 뺀다. 주방용 크리너나 중성세제를 사용 안쪽 바닥구석, 조임스텐카바,
연결너트 부위를 부드럽게 닦아준다.
※ 배수구 외부를 청소할 경우 마른 걸레로 가볍게 닦아줄 것.
이때 연결 너트 부위를 과도하게 충격을 가할 경우 누수의 우려가 있으니 주의 할 것.
2) 오물통
① 오물통에서 오물을 분리할 경우 오물통 옆면을 휴지통 모서리나 각진곳에 대고 충격을 가할 경우 오물통 파손의 원인이 되므로 주의하여 사용한다.
②오물통은 배수구전용 스펀지나 수세미에 중성세제를 묻혀 내외부를 골고루 닦아준다.
※ 락스나 기타 유용액에 담가 두었다가 사용하는 것은 일체 삼가할 것(변형파손의 원인)
3) 악취방지캡
악취방지캡도 오물통과 마찬가지로 배수구전용 스펀지나 수세미에 중성세제를 묻혀 내, 외부를 골고루 닦아준다.
대형배수구의 악취방지캡은 배수구 안쪽바닥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왼쪽으로 약간 돌려 분리되면 빼어낸다.(조립시 반대)
중소형 배수구의 악취방지캡은 스텐조임카바에서 오물통과 마찬가지로 위로 들어올려 빼어낸다.(조립시 반대)
4) 뚜껑
배수구 뚜껑은 물로 가볍게 헹구어 사용할 것(뚜껑 날개부위에 고무가 있으므로 세제로 닦지 않도록 할 것) 뚜껑고무 변형 및 스텐변형 등 보관에 주의한다.
※ 주의: 설거지 후 가급적 뚜껑을 닫아두면 악취 방지 효과가 훨씬 증대됩니다. 장기간 외출시에는 필히 뚜껑을 닫아 두고 외출하십시오.
배수구안 수분증발로 악취발생에 원인이됩니다.


이런방법도?

1) 10원짜리 동전으로 음식악취 완벽해결
특히 여름철에 물때와 음식찌꺼기로 싱크대싱 배수구가 미끈미끈 악취까지 나게 되면 정말 골치거리가 아닐 수 없다.
씽크배수구의 음식찌꺼기의 오물통에 이런 음식물 찌꺼기의 부패와 악취를 막는데는 10원짜리 동전이 최고다.
못쓰는 스타킹에 동전을 4,5개 넣어서 오물통에 매달아 두면된다. (1~2개월)동전의 구리 성분이 음식물을 부패하게 하는 박테리아 활동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또한 씽크배수구에 생기는 미끈미끈한 물때는 주방세제로 닦아낸 뒤 찻잎이나 감자껍질로 문지르면 금새 사라진다.
저녁 설거지 이후에는 씽크 배수구에 뜨거운 물을 부어주는 것이 좋다. 뜨거운 무이 살균은 물론 악취까지도 제거하기 때문이다.
2) 비닐을 이용한 악취제거 방법
우선 하수구 오물받이에 끼울만한 크기의 얇은 원통형 비닐을 구해 약 30cm정도의 길이로 자른다.
이렇게 자른 비닐의 한쪽을 오물받이에 끼우고 고무줄을 단단히 묶은 다음 하수구에 다시 꽂는다. 물 한 바가지를 부어 비닐이 서로 달라 붙게 한다.
비닐이 서로 달라 붙으면 어떻게 될까? 그렇다 하수구와 주방의 통로가 차단된다. (완전밀착형 하수캡역할)
따라서 더이상 악취가 올라오지 않게 된다.
3) 씽크개수대(스텐상판) 청소는 무즙을 이용
씽크개수대가 더러워지면 무에 클진저를 묻혀서 닦으면 흠집도 나지 않고 놀랄정도로 잘 닦인다. 쉽게 더러워진 배수구도 이런식으로 닦으면 잘 닦아진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여섯가지 바베큐소스 만들기 (레시피)

바베큐소스 만들기


바베큐소스 첫번째.
1. 식용유에 양파와 샐러리 잘게 채썬것을 넣고 볶는다.
2. 케찹 3스푼을 신맛이 없어지게 살짝 볶고 불끄고 우스터소스 조금(색내는 용도)과 핫소스, 설탕으로 간을 하고 레몬즙을 조금 뿌린다. (이때 레몬즙이 없으면 식초를 조금 첨가.)
3. 월계수잎과 물을 넣고 적당히 졸이면 끝.


바베큐소스 두번째.
1. 케첩과 겨자소스를 1:1로 비율로 섞는다.
2. 포도주를 조금 넣고 잘 섞으면 끝 (포도주 대신에 포도즙 OK)


바베큐소스 세번째.
재료
껍질 깐 토마토 1개,토마토케첩 2큰술, 고운 고춧가루·간장·우스터 소스 1작은술씩, 설탕·맛술 1큰술씩, 후춧가루 약간
만들기
뜨겁게 달군 팬에 토마토를 넣고 으깨어가며 뭉근하게 끓이다 토마토케첩과 나머지 재료를 넣고 가볍게 섞은 다음 불을 끈다. 달콤하면서도 톡 쏘는 맛. 바비큐 닭고기보다 더 맛깔스럽다.


바베큐소스 네번째.
고추장, 식초, 고춧가루, 물엿, 간장, 참기름, 마늘 간것, 깨소금을 넣고 섞는다.
다익은 고기에 붓거나, 찍어먹는다.


바베큐소스 다섯번째. 
고추장 3 큰술,  식초 1 큰술,  고춧가루 1 큰술,   물엿 4 큰술(조절)
간장 1 큰술,   참기름 1 큰술,   마늘간것 2 큰 술,  깨소금 2 큰술 넣고 잘 섞어준다.
(농도 조절시 사이다나 청주는 넣어준다)


바베큐소스 여섯번째.
케첩 6큰술, 고추장 6큰술, 진간장 2큰술, 사과 1개, 물엿 4큰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냉이의 재배 환경 및 기술과 영양에 관하여

냉이


 냉이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봄나물로서, 청명초, 향선채, 제채 등의 별칭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예전에는 자연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었으나 공해와 제초제 사용 증가로 인해 재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징과 생육환경

  • 생육 환경: 저온에서도 잘 자라며 배수가 잘되는 비옥한 토양에서 생육이 양호함.

  • 생김새: 키는 10~50cm, 뿌리는 흰색으로 곧게 뻗으며, 잎은 16~28매로 새털 모양.

  • 번식 방법: 종자로 번식하며, 발아율이 낮아 적절한 온도와 수분이 필요.

재배 및 유통

  • 재배 면적: 1996년 기준 약 70ha, 주로 충남 지역에서 재배됨.

  • 출하시기: 11월~4월 중, 특히 1~3월에 높은 가격 형성.

  • 포장 및 가격: 4kg 단위 도매, 200~300g 소매, 가격은 3.75kg당 4,000~7,000원.

재배기술

  • 파종기: 9월 상순이 적절하며, 빠르면 생육은 왕성하지만 출현율이 낮고, 늦으면 출현율은 높지만 생육량이 적음.

  • 비료 사용: 주로 밑거름만 시용하며, 하우스 재배 시 10월경 유기질 비료 추가.

병충해 및 수확

  • 병충해 방제: 겨울철 재배로 인해 병충해 피해가 적으나, 봄철 배추벌레와 거세미 피해 가능.

  • 수확 시기: 봄(3~4월), 가을(9~11월), 겨울(12~2월), 10a당 500~1,000kg 수확 가능.

영양성분 및 식품가치

  • 풍부한 영양소: 비타민 A, C, 칼슘, 철분, 식이섬유 다량 함유.

  • 약리 효과: 위궤양, 치질, 폐결핵, 혈압 강하, 지혈 효과 등이 있음.

  • 요리 활용: 냉이국, 무침, 건강주(소주+흑설탕)로 담가 마시기도 함.

냉이는 맛과 건강 효능이 뛰어나며, 식품뿐 아니라 한방에서도 활용되는 유용한 작물입니다.

------------------------------------------------------

냉이 (두해살이풀)

십자화과 Capsella bursa-pastoris (LINNE) MEDICUS

분포지 - 전국

개화기 - 3~6월

높이 - 50cm 전후

용도 - 식용,약용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5/04/10

농촌체류형 쉼터 Q&A

농촌 체류형 쉼터


 1. 농업인도 설치가 가능한가요? 

농촌 체류형 쉼터는 농지 이용행위로 설치하는 것으로 농업인도 설치가 가능합니다. 

임차농은 토지 소유주의 토지사용 승낙서를 첨부했을 경우 설치가 가능합니다. 


​2. 다락을 설치할 수 있나요? 

사용자 안전을 감안하여 1층에 한해 설치 허용.

건축법 시행령에 따라 1층 높이 4m 이내에서, 최대 1.5m(경사지붕일 경우 최대 1.8m) 까지 설치 가능.


3. 데크와 정화조 설치가 가능한가요?

데크와 정화조는 건축법시행령 규정(제119조)에 따라 농총 체류형 쉼터 연면적(33m² 이내)과는 별도로 설치가 가능합니다. 

다만, 정화조는 하수도법 등 개별법 및 지방자치단체 조례로 설치를 제한한 지역에서는 설치할 수 없습니다.         


4. 농촌체류형 쉼터를 설치하기 위한 최소 보유 농지 면적이 있나요? 

농촌체류형 쉼터와 데크, 주차장, 기타 부속시설(처마, 진입로, 정화조등)을 합산한 면적의 두배 이상의 농지를 보유해야 합니다. 

쉼터와 부속시설을 합산한 면적이 이외의 농지에서는 영농활동을 하여야 합니다. 


5. 농촌체류형 쉼터 존치기간은 어떻게 되나요? 

존치기간은 [건축법 시행령]에서 정한 바와 같이 3년으로 하며, 연장할 경우 횟수별 3년의 범위에서 지자체 건축조례로 정함. 

다만, 3회를 초과하여 연장할 경우 안전,기능,환경,미관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건축조례로 연장 횟수를 정하도록 하는 내용으로 입법 예고중에 있습니다. 


6. 농촌체류형 쉼터에 전입신고 할 수 있나요?

농촌체류형 쉼터에 전입신고는 임시거주라는 쉼터 도움 취지에 맞지 않습니다.

전입신고를 할 경우 상시거주 의도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 농촌체류형 쉼터가 임시숙소라고 규정한 농지법을 위반한 것으로

농지법 제43조에 따른 원상복구 명령을 받을 수 있습니다.


7. 양도소득세와 종합부동산세 납부 대상인가요? 

가설건축물 형태의 농촌체류형 쉼터는 주택이 아니기 때문에 양도소득세와 종합부동산세 납부 대상이 아닙니다. 

다만, 지방세법에 따른 취득세와 재산세는 납부해야 합니다. 


8. 개발제한구역 내 농지에 설치 할 수 있나요?

개발제한구역 내 농지에 농촌체류형 쉼터 설치는 [개발제한구역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따라 허용되지 않습니다.


9. 읍.면이 아닌 동지역에도 설치할 수 있나요? 

농촌체류형 쉼터는 모든 농지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동 지역의 농지에도 설치할 수 있습니다. 


​10. 부지와 접한 도로의 폭은 4m 이어야 하나요? 

농촌 체류형 쉼터를 설치할 농지는 반드시 [농어촌도로정비법] 상 면도,이도,농도 또는 소방차,응급차 등

차량 통행이 가능한 현황도로에 접해야 합니다. 


현황도로는 오랜 기간 주민들이 관습적으로 실제 사용해 온 사실상의 통로를 말하며, 

쉼터 설치가 가능한 도로 여부는 일정 기준에 따라 지자체에서 판단토록 할 계획입니다. 


11. 기존 농막 사용자는 어떻게 되나요? 

농막을 숙소로 사용하는 것은 여전히 불가합니다. 

다만, 연면적(20m² 이내) 과는 별도로 데크와 처마, 정화조, 주차장 등을 허용하여 영농활동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또한 기존 농막이 쉼터 입지.시설 기준을 충족하면 일정 기간(3년) 내 쉼터로 전환할수 있습니다. 

출처 - https://www.mafra.go.kr/home/5597/subview.do?enc=Zm5jdDF8QEB8JTJGYmJzJTJGaG9tZSUyRjg2MyUyRjU3MjIwOCUyRmFydGNsVmlldy5kbyUzRmJic0NsU2VxJTNEJTI2cmdzRW5kZGVTdHIlM0QlMjZiYnNPcGVuV3JkU2VxJTNEJTI2cGFzc3dvcmQlM0QlMjZzcmNoQ29sdW1uJTNEJTI2cGFnZSUzRDElMjZyZ3NCZ25kZVN0ciUzRCUyNmlzVmlld01pbmUlM0RmYWxzZSUyNnNyY2hXcmQlM0QlMjY%3D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농촌체류형 쉼터 설치 절차 안내

 농촌체류형 쉼터 설치 절차

농촌체류형 쉼터 설치 절차 흐름도

농촌체류형 쉼터 시설‧입지‧안전 기준

◇ 농촌체류형 쉼터 구체적인 기준(「농지법 시행규칙」 제3조의2 신설) [재입법예고(’25.1.15~1.20) 중]
- (설치농지) 건축법 시행령 규정에 따른 연면적 및 건축면적(33㎡), 쉼터․부속시설 합산 면적의 최소 두 배 이상 농지 보유, 영농 의무 부여
* 데크․정화조, 주차장 설치 허용(연면적․건축면적과 별도)
- (존치기간) 최장 12년(3년 단위 연장) + a(지자체 조례)
* 「건축법 시행령」에 따라 존치기간(12년) 도래 후 ‘안전, 기능, 미관, 환경’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지자체 건축조례로 존치 기간을 연장
- (입지기준) 도로(행황도로 포함)에 접할 것, 방재지구 등 설치 제한지역 에 속하지 않을 것
- (안전기준) 소화기․단독경보형감지기 등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 의무 부여

확인·신고․등재 사항

- 가설건축물축조신고서’ 제출(「건축법 시행규칙」 별지 제8호서식)

- 농촌체류형쉼터 설치 후 「농지법」제49조의2에 의한 농지이용정보 변경신청, 농지대장에 농촌체류형쉼터 설치 등재(별지서식)

출처 - https://www.mafra.go.kr/home/5595/subview.do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농촌체류형 쉼터에 대하여

 농촌체류형 쉼터 도입계획

개념도시민의 주말‧체험영농*과 농촌 체류 확산을 위한 임시숙소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설치하는 시설(연면적 33㎡ 이내)

* 농업인 농업경영 목적 포함           ** 본인 직접 사용 원칙


도입방법

1. 개인이 본인소유 농지에 농지이용행위로 가설건축물 형태의 농촌체류형 쉼터 설치(농지법 하위법령 개정, ’25.1월~)

2. 지자체가 단지 조성해 개인 임대하거나 지자체 지정 특정구역 내 개인이 농촌체류형 쉼터(가설건축물, 건축물) 설치(농지법 개정, ’25.~)


존치기간
최장 12년(3년 단위 연장) + α(지자체 조례)

* 「건축법 시행령」에 따라 존치 기간(12년) 도래 후 ‘안전, 기능, 미관, 환경’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지자체 건축조례로 존치 기간을 연장 **입법예고(10.29.~12.29.) 중


제한지역
관련 법령* 준수를 통해 숙소 사용을 위한 최소한 안전 확보
* 방재지구(국계법), 붕괴위험지역(급경사지재해예방법),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자연재해대책법), 엄격한 방류수 수질기준 적용 지역(하수도법), 지자체 조례로 정한 지역

설치절차
입지 등 지자체 사전확인(농지부서) → 가설건축물축조신고(건축부서) → 농지대장등재(농촌체류형쉼터설치현황 제출)

의무사항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 영농, 농지대장 등재

쉼터 조감도

쉼터 평면도 배치도

농막의 농촌체류형 쉼터 전환

농막의 농촌체류형 쉼터 전환대상
현행 농지법령에 따라 설치된 농막 중 개정 시행되는 농지법령에 규정된 쉼터 입지‧설치 기준에 적합한 농막(소유자 신청에 한함)
    ☞ 현행법상 ‘불법농막’도 아래의 경우에 한해 쉼터로 전환 가능함

① 쉼터 설치 가능 입지에 설치된 농막으로서 연면적(부속시설* 포함)이 농막 기준을 초과하지만 쉼터 기준에는 적합한 농막
   * 기존에 농막 연면적에 포함되었던 데크, 정화조 시설 면적
② '①'의 기준을 충족한 농막 중 가설건축물 관리대장 미등재 농막

전환기간
개정 농지법령 시행일로부터 3년 이내

설치방식
기존 농막 철거 후 쉼터 신축, 기존 농막(20㎡)에 연접해 증축(13㎡)하거나 농막 위치 필지 내 별개 가설건축물(13㎡) 설치
   * 가설건축물의 축조면적과 구조 등에 변경이 있을 경우에는 허가권자에게 기존 가설건축물 신고를 취소 후, 새로운 가설건축물 축조 신고를 득하여야 함.

불법농막
① 면적초과, ② 숙소사용 등 불법시설(용도) 농막은 3년간 전환 유도 후, 미전환 시 농지법 등 관련 법률에 따라 처분

출처 - https://www.mafra.go.kr/home/5594/subview.do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2025/04/09

비료의 5대요소 - N, P, K, Ca, Mg

 비료의 3대요소는 N(질소), P(인산), K(칼륨) 입니다.

( 바로가기 - 비료의 3대요소 )

여기에 Ca(칼슘)과 Mg(마그네슘)을 더한 것을 비료의 5대요소라고 합니다.

비료

Ca(칼슘) - 세포분리, 유기산 중화, 단백질 합성, 부족시 활엽수 백화현상, 침엽수 잎 끝 고사

(계란껍질, 조개껍질, 석회 등)


Mg(마그네슘) - 부족시 황백화 현상 발생, 광합성과 인산 사용을 위해 필요.

(고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5/04/08

비료의 종류 및 구분 (질소질, 인산질, 칼리질, 석회질, 유기질 비료)

 

함유성분(주성분)에 의한 분류

비료,질소질,인산질,칼리질,규산질,석회질,미량요소,복합

질소비료(Nitrogenfertilizer)

 

:Urea
황산암모늄(유안):AmmoniumSulfate(AS)
. 염화암모늄(염안):AmmoniumChloride(AC)

질산암모늄(질안):AmmoniumNitrate(AN)
석회질:CalciumCyanamide
암모니아:AmmoniaSolution
. 무수암모니아(액안):AnhydrousAmmonia 질산석:CalciumNitrate(CN)
. 질산소다(칠레초석): SodiumNitrate(ChileSaltpeter)
질황:AmmoniumSulfateNitrate(ASN)
. 질안석:CalciumAmmoniumNitrate(CAN) 탄산암모늄(탄안):AmmoniumCarbonate
. Ureaform(완효성질소질비료):Ureaformaldehyde
. IBDU(완효성질소질비료): Isobutylidenediurea
. CDU(완효성질소질비료):Crotonylidenediurea

 

인산비료(Phosphatesfertilizer)

 

과린산석회(과석):SingleSuperphosphate(SSP)
.중과린산석회(중과석):Double(orTriple)Superphosphate(TSP)
용성인:FusedMagnesiumPhosphate(FMP)
용과:FusedSuperphosphate(FSP)
이인:DiammoniumPhosphate(DAP)
인질:AmmoniumPhosphateNitrate
인염:AmmoniumPhosphateChloride
요소인:UreaAmmoniumPhosphate
인일:MonoammoniumOrthophosphate(MAP) 암모니아:AmmoniatedSuperphosphate
황인:AmmoniumPhosphateSulfate
인산일석:MonocalciumPhosphate
인산이석:DicalciumPhosphate
인회:Apatite
소성인:CalcinedPhosphate

 
 

칼리비료(Potassium fertilizer)

 
염화칼리(염가):PotassiumChloride
황산칼리(유가):Potassium Sulfate
질안칼:PotassiumAmmoniumNitrate
정인산칼: PotassiumOrthophosphate
메타인산칼:PotassiumMetaphosphate
소성칼:BurnedCausticPotash
 
 

석회비료(Calcium fertilizer)

 

탄산석:CalciumCarbonate
소석:CalciumHydroixde(SlakedLime)
생석:CalciumOxide(QuickLime)

 

유기비료(OrganicManures)

 
 

(1)깻묵류(유박류):Oil-Cakes

콩깻묵(대두유):Soybean-cake
땅콩깻묵(땅콩박):Peanut-cake
들깨깻묵(화유박):Perilla-cake
. 참깨깻묵(호마유박):Sesameseed-cake
목화씨깻묵(면실박):Cottonseed-cake
. 삼씨깻묵(대마실유박):Hempseed-cake
아마인깻묵(아마인유박):Linseed-cake
. 아주까리깻묵(피마자유박):Castoroil-cake
유채깻(유채유박):Rapeseedoil-cake
해바라기깻묵(하일채유박):Sunflowerseed-cake
 

(2)물고기깻묵류(어박류):Fish-Meals

건어깻묵(건어박):Driedfishmeal
어박분(어유분):Powderedfishmeal
:Meatmeal
잡어깻:Mixedfishmeal
 

(3)배설:Feces

뒷거름(하비):Nightsoil
오줌():Urine
닭똥(계분):Chickendropping
돼지똥(돈분):Pigdropping
쇠똥(우분):Cattledropping
양똥(양분):Sheepdropping
가금:Fowldropping
가축분:Livestockexcrement
인분:Humanexcrement
 

(4)유기

:Greenmanure
:Compost
. 외양두엄(구비):Barnyard(Farmyard)manure 쌀겨(미강):Ricebran
왕겨(조곡):Chaff
나뭇재(목회):Woodash
초목:HerbandWoodash
:Straw ash
자운영:Gengeclover
헤어리베:Hairlyvetch
. 청예대:Greenmowedsoybean :Boneash
부식:Humus
():Ash
바다말(해조):Seaweed


출처 - https://bill-life.bill-life.com/182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