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사항 |
두릅나무는 오갈피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수고가 3~4m까지 자라고 원줄기는 곁가지를 많이 치지 |
않
으며 가지에 가시가 많이 발생하여 있다. 꽃은 8~9월에 백색으로 개화하고 열매는 9~10월에 성숙하며 |
지
름3mm의 둥글고 검은 장과 속에 장원형의 평평한 종자가 들어 있다. 두릅나무는 줄기에 많은 가시가 있는 |
계
통이 있는가 하면 전혀 가시가 없는 계통도 있어 재를 위해서는 가시가 적거나 없는 계통의 어미나무를 |
선
발하여 뿌리삽목이나 맹아분주로 증식한 묘목을 식재해야 한다. 예로부터 이른 봄 두릅나무의 가지 끝에서 |
돋
아나는 새순을 채취하여 부침, 튀김, 소금절임, 살짝 데쳐서 초장에 찍어 술안주 등으로 식용해 온 무공해 |
건
강식품이다. |
|
|
|
|
|
|
|
|
|
|
|
|
|
|
|
한
편 나무껍질과 뿌리는 이뇨, 건위, 강정, 당뇨 등의 효능이 인정되어 생약재료로도 이용되고 있다. 두릅나무 |
새
순에는 단백질, 지질, 칼슘, 철분 등의 함량이 많고 특히 비타민 A의 경우 콩나물의 6배, 오이, 고구마의 |
2
배로 높다.(표 1참조) |
그
리고수피와 뿌리는 생약명으로 총목피(總木皮)라고 하며, 수피에는 스킴 미아닌(skimmianine), 마그노프로린 |
(magnoflorine),
라우리폴린(laurifoline), 정유가 함유되어 있다. |
뿌
리에는 딕타민(dictamine), 산디레틴(xanthyletine), 니티딘(nitidine) 등이 함유되어 있고, 잎에는
정유, 수지 |
(樹
脂), 페놀(phenol)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
|
|
|
|
|
|
|
|
|
|
|
|
|
|
|
자
생지의 입지조건은 숲속보다는 산과 농경지의 접경지에서 주로 자라고, 광선이 잘 들어오는 산록계곡부의 |
유효공간으로서 부식질이
풍부한 다소 습한 곳에서 생육이 양호하다. |
번
식은 종자 발아율이 낮아 주로 뿌리삽목이나 어미나무의 근원부에서 발생되는 근맹아묘(根萌芽苗)를 분 |
|
국
민의 식생활 수준 향상에 따라 독특한 맛과 향을 지닌 건강식품인 두릅나물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
|
표1.
두릅나무 새순의 성분 분석(식용부위 100g 당) |
|
수분 |
탄수화물 |
단
백질 |
지
질 |
회
분 |
칼
슘 |
인 |
철 |
비타민A |
티
아민 |
리보플라빈 |
나이아신 |
|
(%) |
(g) |
(g) |
(g) |
(g) |
(g) |
(mg) |
(mg) |
(I.U) |
(mg) |
(mg) |
(mg) |
|
85.8 |
5.9 |
5.6 |
1.2 |
1.5 |
50 |
150 |
5.2 |
1,080 |
0.09 |
0.42 |
0.8 |
|
|
|
|
|
|
|
|
|
|
|
|
|
|
|
두
릅은 일반적으로 채소류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지만 단백질이 많고 지방,당질,섬유질,인,칼슘,철분,비타민(B1, |
B2,
C)과 사포닌 등이 들어있어 혈당을 내리고 혈중지질을 낮추어 주므로 당뇨병, 신장병, 위장병에 좋다. |
기
를 보하고 정신을 란정시키며 정을 강하게 하고 콩팥을 자양하며 풍을 제거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효능이 |
효능이 있어 간염, 건위, 이뇨, 진통, 수렴, 거풍, 강정, 류마티스성 관절염, 외상출혈,
위궤양, 위경련, 신장염, 각기, |
수
종,당뇨, 신경쇠약, 발기력 부전, 관절염 등에 사용한다. |
|
재배환경 |
두
릅은 백두산에서 한라산까지 적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나 지역 특성에 맞는 품종선택이 두릅재배에 무엇보다 |
중요하다. |
0.
비교적 추운지역에서는 정강, 신구, 자오 품종이, 따뜻한 지역인 전남, 경남, 제주지역은 정강품종이 적합함 |
0.
양지식물이지만 음지에서도 잘 자라고 현재 자연산은 음지에만 분포되어 있어 음지식물로 착각할수 있으나 |
주
의깊게 관찰해 보면 양지식물이 확실하다. |
0.
토질은 마사, 진흙, 모래, 자갈 어느곳이든 가리지 않고 잘 자라지만 배수가 안 되는
따은 뿌리썩음병(입고병)이 |
발
샐하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
|
|
|
1. 품종 |
국
내 선발종으로 금마,부곡및 일본도입선발종으로 신구 기타 일본도입종으로 정강, 춘풍 등을 들수 있다. |
|
*
품종별 특성 |
|
구분품종명 |
금마 |
부곡 |
신구 |
정강 |
|
|
발아 |
늦음 |
빠름 |
보통 |
- |
|
|
|
나무세력 |
중 |
중 |
강 |
강 |
|
|
|
수피색 |
회갈색 |
회갈색 |
회갈색 |
회록색 |
|
|
|
줄기의가시 |
장단 |
중 |
중 |
단 |
무 |
|
|
|
태세 |
중 |
태 |
태 |
무 |
|
|
|
다소 |
소(상부없음) |
다 |
소 |
무 |
|
|
|
싹 |
색 |
녹색 |
연녹색 |
연녹갈색 |
녹색 |
|
|
|
가시다소 |
무 |
무 |
무 |
무 |
|
|
|
크기 |
대 |
소 |
대 |
- |
|
|
|
추위 견딜성 |
강 |
강 |
강 |
약 |
|
|
|
수확기의 조만성 |
만생 |
조생 |
중생 |
중생 |
|
|
|
재배작형 |
노지,촉성 |
노지,촉성 |
노지,촉성 |
노지용 |
|
|
|
용도 |
겸용 |
겸용 |
겸용 |
녹즙용 |
|
|
|
기타 |
국내종 |
국내종 |
일본도입선발 |
일본도입종 |
|
|
|
|
|
|
|
|
|
|
|
|
|
|
|
|
|
*
두릅나무의 계통별 특성 |
|
계통구분 |
맹아기(월,일) |
수 피 색 |
가지수 (개) |
개화기(월,일) |
꽃색 |
|
1 년생 |
2 년생 |
|
가시가 많은 계통 |
4.6 |
흑회색 |
84.9 |
163.2 |
8. 11 |
항색 |
|
가시가 적은 계통 |
4. 9 |
회록갈 |
57.3 |
19 |
8. 14 |
황색 |
|
가시가 없는 계통 |
4. 11 |
회록갈 |
0.3 |
5.7 |
8. 15 |
황색 |
|
|
|
|
|
|
|
|
|
|
|
|
|
|
|
2. 번식 |
(1)
실생번식 |
-.
종자채취 : 9월하순~10월상순에 까맣게(자흑색) 익은 종자를 채취하여 1일간 물에 담가두었다가 과육을 |
제거한후 그늘에서 약간 말린다음 물에 담가 물 속으로 가라앉은 종자만 선별하여 건조하지 않도록 하고 |
수분 70%정도의 톱밥이나 가는 모래에 종자를 3:1로 섞어 냉장고나 배수 양호한곳의 지하 20CM이하에 묻음 |
-. 파종시기 |
0.
노지 : 4월 상순~ 4월 하순 (채종즉시 또는 노천매상후 다음해) |
0.
온상 : 2월 상순 |
-.
파종방법 |
0.
노지 : 폭 1m정도의 파종상을 만들고 줄뿌림후 1cm정도 복토후 짚덮기 |
0.
온상 : 파종상자 또는 전열 온상에 무균상토나 버미큘라이트 등을 10cm정도 넣은 다음 조파 또는 산파하고 |
1~2 cm정도 복토 |
- 온상은 20~25도C를 유지하고 다습시 입고병 발생이 심하므로 주의 |
- 버마큘라이트는 발아후 부터 수시로 양액과 영양재 등을 관주 |
-.
이식시기 : 본엽 4~5매시 직경 9cm 폿트에 이식 |
|
*
종자처리별 발아율및 생육 |
|
종자처리 |
파종기(월,일) |
발아기(월,일) |
발아율(%) |
생육(8월 15일) |
|
경장(cm) |
경수(개) |
줄기직경(cm) |
|
채종후직파 |
9. 15 |
4. 30 |
72 |
34 |
3. 3 |
1. 6 |
|
노천매장(120일) |
3. 15 |
4. 20 |
78 |
52 |
4. 5 |
1. 8 |
|
저온처리(120일) |
3. 15 |
4. 10 |
81 |
65 |
6. 2 |
2. 2 |
|
|
|
|
|
|
|
|
|
|
|
|
|
|
|
***.
종자발아 촉진 처리는 생장조절물질인 지베렐린(GA3)을 농도(50, 150, 300, 500)별로 처리한 후 모래와 종자 |
1:
1비율로 혼합 후 땅속 60cm 길이에 묻어 두는 노천매장과 일반 노천매장 그리고 4도씨의 냉장고에서 냉습적 |
처
리한 종자를 3월30일 포지에 파종한 결과 표2와 같은 발아율과 생장량을 보였다. |
(표
2. 두릅나무 종자발아 촉진처리 방법별 발아율과 생장) |
|
처 리 |
발아율(%) |
생 장 량 |
|
묘고 |
근원직경 |
뿌리길이 |
일차근수 |
T/R율 |
|
(cm) |
(mm) |
(cm) |
(개) |
(%) |
|
노천매장 |
34.6 |
24.9 |
10.7 |
23.2 |
4.4 |
78.2 |
|
냉습적처리 |
33.2 |
37.9 |
12.6 |
23.2 |
6.9 |
75.4 |
|
노천매장전50ppm |
54.5 |
27.7 |
10.7 |
19.1 |
4.6 |
74.5 |
|
(GA3)150ppm |
53.6 |
25.7 |
8.8 |
18.6 |
5.3 |
69.4 |
|
300ppm |
56.2 |
34.1 |
12.1 |
21.9 |
7.2 |
63.6 |
|
500ppm |
56.0 |
29.3 |
11.7 |
22.5 |
4.7 |
81.9 |
|
평 균 |
48.0 |
29.9 |
11.1 |
21.4 |
5.5 |
73.8 |
0.
종자채취일자 : 94년 10. 19 0.
발아개시일자 : 95년 5. 29 |
0.
발아촉진처리일자 : 94년 12. 8 0. 발아종료일자 :
95년 6. 10 |
0.
종자파종일자 : 95년 3. 30 |
표
에서 보면 일반 노천매장이나 냉습적처리보다는 지베릴린(GA3)을 처리 한 후 노천매장하므로서 발아율을 |
2
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으나 대체로 낮은 발아율을 보였다. |
실
생묘의 생장에서 뿌리발달은 양호하였으나 묘고생장은 평균 30cm 내외로 저조하였으나 다음해 산지에 |
식
재하였을때 빠르게 생장하여 100cm 이상 신장하였다. |
|
|
|
|
|
|
|
|
|
|
|
|
|
|
|
(2)
근삽번식 |
-.
시기 : 2월 하순~ 5월 상순 |
-.
종근채취 : 2월 하순 ~4월 상순 상처나지 않도록 채취(잡아당기지 않아야 함) 1`2년생 무병의 포장에서 종근채취 |
-.
종근소독 : 리드밀 MZ 수화제 200배액 30분간 소독 |
-.
삽수크기 : 길이 10cm 정도, 굵기 0.5~ 1cm 이상 |
-.
꽂는방법 : 평삽, 비스듬히 꽂기, 직삽이 있는데 발아와 득묘율은 비슷하나 작업면에서 평삽이 유리함 |
정강 : 직삽 ,사삽 ,평삽 신구, 자오, 야생두릅 : 평삽 |
**
종묘준비시 가급적 가시가 적거나 없는 계통을 선별 |
가시가 많은 계통은 새싹 굳어짐이 빨라 상품가치가 저하됨 |
-.
꽂는간격 : 30cm*30cm 끝부분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꽂는다. |
(두둑의 폭 90cm, 높이 30cm배수) |
-.
상토 : 배수불량지및 모래땅은 지양하고 밭흙이 가장 좋다. |
|
|
|
|
|
|
|
|
|
|
|
|
|
|
|
***
정강두릅의 경우 성장이 빨라 삽목후 4개월 이내에 수확이 가능하므로 근삽시 정식간격으로 식재해도 무방함 |
정
식간격 : 폭 140cm, 묘간거리 : 60cm, 배
수깊이 : 30c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분주 |
-.
시기 : 3월 하순 ~ 4월 하순 |
-.
방법 : 모주에서 발생된 1~3년생의 자묘를 채취하여 심음 |
-. 포기 나누기를 많이 하려면 원나무의 두릅 수확후 5월 중하순경 원포기로 부터
30~40cm 떨어진 부위의 지면을 |
삽
등으로 깊게 찍어 원뿌리를 잘라 주면 새로운 묘의 발생이 많아진다. |
**야생두릅 분주시 산림훼손, 산림법 등에 저촉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정식 : 1년간 육묘한 후 본밭에 정식 |
1)
시기 : 정강은 2월하순~3월중순경, 기타품종은 3월하~4월하순 |
실
생묘는 5월 중순경(만상후), 근삽묘나 분주묘는 3월 하순 ~ 4월 하순 |
2)
방법 |
-.
정강품종의 경우 5월 중순~10월중순까지 매일 수확이 가능하므로 작업이 용이하도록 폭이 넓은 것이 유리하나 |
일
반적으로 1.2~1.5m*60cm간격으로 정식하되 비옥도에따라 가감함. |
-.
실생묘는 순화시키고 건조에 주의하여 1.8 ~1.5m *0.6m 간격으로 정식(1,000~1,500주/10a로 비옥도에 따라
가감) |
-.
구덩이는 깊이 60cm, 폭45~60cm로 파고, 퇴비5kg, 게분 1~2kg와 흙을 잘 섞어 구덩이를 채운다음 식재 |
-.
묘목심기가 끝나면 물을 충분히 주고 그 위에 짚을 덮어 가뭄 피해를 막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거름주기 |
-.
밑거름은 정식할때와 가을 낙엽후 주고 웃거름은 3회 정도 자라는 상태를 보아서 적절히 주는 것이 좋다. |
-.
상품가치기 있는 좋은 싹을 많이 수확하기 위해서는 매년 굵기가 2cm 이상 되도록 비배 관리를 해야된다. |
|
|
|
|
|
|
|
|
|
|
|
|
|
|
|
*
두릅나무 거름주는 량(kg/10a) |
|
비 종 |
총 량 |
밑거름 |
웃 거름 |
|
|
|
1회 |
2회 |
3회 |
|
|
|
퇴비 |
1,500 |
1,500 |
- |
- |
- |
|
|
|
닭똥 |
150 |
150 |
- |
- |
- |
|
|
|
요소 |
40 |
20 |
5 |
5 |
5 |
|
|
|
용성인비 |
70 |
70 |
- |
- |
- |
|
|
|
염화가리 |
35 |
25 |
5 |
5 |
5 |
|
|
|
시비시기 |
- |
정식시 |
6월초 |
7월초 |
8월초 |
|
|
|
|
|
|
|
|
|
|
|
|
|
|
|
|
|
5. 본밭관리 |
1)
나무골 다듬기 |
-.
두릅나무를 방치하면 높이가 3~4m에 달하여 관리가 어렵고 또한 두릅의 수량은 새순의 숫자로 결정되는 |
것
이므로 가지의 수를 많게 하는 것이 중요함 |
-.
기타 두릅과 달리 정강두릅은 성장이 빠르고, 여름순을 수확해야 하므로 전정은 필수임 |
-.
상품가치가 있는 좋은 싹을 많이 수확하기 위하여는 매년 굵은 가지가 2m이상 되도록 비배관리 |
-
매년 수확이 끝나는 즉시 가지를 잘라주어 나무꼴 높이를 1.2~2m로 유지 |
1
년차 : 20~30cm부위 절단 |
2
년차 : 1년차 가지치기 후 발생된 가지에서 두릅을 수확하고 50~60cm 부위 절단 매년 그 위치 고정 |
-4~5
년후에는 헛골에 새싹이 무수히 발생하므로 적절히 솎아 줌. |
*
1주에 4개 정도 가지를 유지하는 것이 좋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제초와 풀 덮기 |
심
는 첫해는 제초제를 두 세번 살포해야한다. |
묘
포는 짚, 비닐등을 피복하여 잡초발생 방지하고 정식포는 토양 이행성이 적은 제초제인 로록스 수화제, |
그
라목손 등을 두릅에 묻지 않도록 살포한다.(수동식 분무기에타서 끝에 꼬깔을 씌워 바람없는날 살포) |
다
음해에는 제초제 살포를 하지 않아도 두릅의 성장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잡초가 많지 않다. |
사
방으로 심은 두릅의 잎사귀가 한 포기에 약 2대 1대 공에서 약 30개의 잎사귀가 달리며, 한 포기에 60개 |
*
평당 4폭, 약240개의 잎사귀가 꽉 달리기 때문에 완전 차광으로 잡초는 죽고 두릅만 남아서 제
초작업은 할 |
필
료가 없다. 그러나, 칡넝쿨, 집게넝쿨, 개콩넝쿨 같이 감아 올라가는 풀은 뽑아주어야 한다. |
|
6. 병충해 방제 |
1)
입고성 역병 |
증
상은 새가지가 생기를 잃고 몇 일내로 고사하며 뿌리의 표피조직이 수침상으로 되고 흑갈색으로 부패한다. |
발
병환경은 온도 15~30도씨의 배수 불량한 포장에서 발생하며 입고성 역병의 병균이 잠복하고 있는 오염된 |
토
양에서 발생이 심하며 방제 방법으로는 질소과용금지, 단근시 뿌리가 상하지 않게 관리, 묘목 종근은 |
리
도밀 수화제 500배액 침지후 식재, 정식후 발병시는 즉시 제거하고 리도밀입제를 10a당 3~5kg을 시용하며 |
강
우시 배수가 잘 되도록 배수로를 정비한다. |
2)
더뎅이병 |
장
마철을 전후하여 많이 발생한다. |
특
히 태풍및 강한 비바람이 지난 후 발생이 많다. 잎에 작은 반점이생기며 기형화 되고 생육에 지장을 주며 |
여
름잎 수확시 품질에 영향을 준다. |
방
제방법은 초기방제로는 벤레이트수화제 2,000배, 톱신엠수화제 1,500배, 안트라콜 1,000배를 예방위주로 |
살
포하고 발생 후에는 농용마이신, 유기폰, 델란케이, 신기동, 델란, 옥시동, 코사이드, 새빈나 등을 살포하면 된다. |
아
직까지 두릅에는 고시된 약재가 없으므로 적은면적에 처리후 약해발생 여부를 확인후 살포하도록 한다. |
3)
기타병해 |
두
릅은 아직까지 보고되지 않은 병해가 많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농가재배중 나타나는 증상을 보면 줄기가 |
검
게 썩는 증상(지하부 뿌리는 정상적으로 생육)등이 있으며, 야생두릅을 경제작물로서 집단으로 재배할 경우 |
아
직까지 미기록 병해가 많이 나타날 것이다. |
4)
응애류 |
년
5~10회 발생되며 응애는 예찰결과에 따라 적기에 방제 하도록 한다. |
방
제 약제로는 켈센, 마이캇트, 오마이트, 토큐, 모레스탄, 산마루, 샘나, 사란, 다니 톨, 닛쏘란, 모폭스, 호리마트, |
란
백, 맥모쳐, 한지게, 우수수 등이 있다. |
5)
하늘소 |
유
충이 뿌리 줄기에 구멍을 뚫고 목질부와 형성층을 가해하는 문제의 해충으로 년1회 발생하며, 어린 유충으로 |
월
동한다. |
방
제 약제로는 유기인계 살충제를 성충 발생 최성기인 8월 중순~9월 상순으로 살포한다. |
6)
선녀벌레 |
년
1회발생하며 알로 나뭇가지에서 월동한다. 어린벌레는 신초에서 집단으로 가해 하며 성충이 되면서 흩어져 |
가
해하는 해충이다. |
방
제 약제로는 발생초기에 엘산 씨디알 1,000배 액으로 살포하면 효과가좋다. |
7)
풍뎅이류 |
성
충은 잎을 가해하고 유충은 땅속에서 뿌리를 가해하므로 심한 경우 수세를 쇠퇴 시켜 신초의 신장을 나쁘게 |
하
고 나무의 세력을 억제한다. 방제약제로는 성충은 세빈수화제 1,000배액, 유충은 침투이행성 살충제 카보입제를 |
10a
당 5~6kg을 살포하면 효과적이다. |
|
|
|
|
|
|
|
|
|
|
|
|
|
|
|
|
7. 수 확 |
-.
싹의 크기는 노지재배시 길이 10cm 내외 일때 4~5cm정도 목질부를 붙여 잘라 10싹 단위로 스치로폴 접시에 |
담
고 랩으로 씌워 출하하거나 10싹을 짚으로 엮어서 출하한다. |
-.
삽수를 치상하여 하우스 촉성재배시는 1~3월까지 연속 출하가 가능하며 이때는 3.3m2당 10kg정도이고 |
10
아삽 촉성재배는 3.3m2당 11~22kg 정도까지수확이 가능하다. |
|
-. 노지재배의 두릅은 4월
초순경 1~2회 수확이 가능하나, |
정
강두릅의 경우 봄두릅 3월말~4월초 : 5회, 여름두릅 5월중순~10월초 : 30회 수확이 가능하여 노지재배의 경우 |
기
타두릅과 정강두릅의 수확은 비교 할 수 없을 만큼 차이가 난다. |
노
지재배 두릅은 3월말이나 4월 초순경부터 수확이 가능하며, 정강두릅의 경우 일주일 가량 수확기기 빠르다. |
수
확은 전정가위를 이용하여 정아와 정아밑의 목질부를 1~1.5cm정도 자른다. |
-.
목질부와 함께 수확시 좋은점은 |
첫
째, 신선도가 5~10일 정도 오래가며, |
둘
째, 저장성이 길어지고, |
셋
째, 상품가치가 뛰어나다. |
-.
두 번째 순부터는 손으로 꺽어서 수확하며 상품성이 있는 봄 두릅은 대략 5회에서 7회까지 생산 가능하다. |
|
|
|
|
|
|
|
|
|
|
|
|
|
|
|
*
품종별 수확 횟수 품종 |
|
품 종 |
3월~4월
초순 |
5월중순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초순 |
|
|
정강두릅 |
5회 |
5일마다 |
3일마다 |
3일마다 |
3일마다 |
5
일마다 |
7~10일마다 |
|
|
기타두릅 |
1회 |
생산불가 |
|
|
|
|
|
|
|
|
|
|
|
|
|
|
|
|
8. 수확후 선도유지및 장기 저장 |
두
릅의 삽수길이에 따른 선도유지 기간은 표1에서와 같이 삽수길이 1~2cm는 8일간 선도가 유지된데 비해 삽수길이 |
4~5cm
에서는 12일, 삽수길이 7~8cm 에서는 14일간 선도가 유지되었다. 보존제 처리에 따른 선도유지 연장효과는 |
표
2와 같이 무처리 12일에 비해 Sucros 3.0% 처리에서 18일, Hyponex는 16일 이었다. |
|
|
|
|
|
|
|
|
|
|
|
|
|
|
|
(표
1) 삽수길이에 따른 저장기간별 선도 |
|
삽수길이 |
저장 기간별 선도 |
|
2
일후 |
4 |
6 |
8 |
10 |
12 |
14 |
16 |
18 |
20 |
22 |
24 |
|
1~2cm |
9 |
8 |
7 |
6 |
4 |
4 |
3 |
3 |
2 |
2 |
1 |
1 |
|
4~5 |
9 |
8 |
8 |
7 |
6 |
5 |
4 |
4 |
3 |
3 |
2 |
1 |
|
7~8 |
9 |
9 |
8 |
8 |
7 |
6 |
5 |
4 |
4 |
3 |
2 |
1 |
**
9 : 선도 극히 양호 7 : 선도 양호 5
: 다소 위조 또는 변색되나 상품성 있음 |
3 : 위조 또는 변색이 심하여 상품성 없음 1 : 변색
또는 부패로 식용불가 |
|
|
|
|
|
|
|
|
|
|
|
|
|
|
|
(표
2)보존제 처리에 따른 저장기간별 선도 |
|
보존제 처리 |
저장 기간별 선도 |
|
2
일후 |
4 |
6 |
8 |
10 |
12 |
14 |
16 |
18 |
20 |
22 |
24 |
|
무처리 |
9 |
8 |
8 |
7 |
6 |
5 |
4 |
4 |
3 |
3 |
2 |
1 |
|
0.3%Sucrose |
9 |
8 |
8 |
8 |
7 |
5 |
5 |
4 |
4 |
2 |
1 |
1 |
|
3.0%Sucrose |
9 |
9 |
8 |
8 |
8 |
8 |
7 |
6 |
5 |
4 |
3 |
2 |
|
0.1%Hyponex |
9 |
9 |
8 |
8 |
7 |
6 |
5 |
5 |
3 |
2 |
1 |
1 |
|
1.0%Hyponex |
9 |
9 |
8 |
7 |
7 |
7 |
5 |
5 |
3 |
3 |
2 |
2 |
|
|
|
|
|
|
|
|
|
|
|
|
|
|
|
삽
수길이 : 4~5cm |
처
리방법 : 삽수길이 4~5cm의 두릅 목질부를 Sucrose 또는 Hyponex에 16시간 침지후 스치로폴 트레이에 |
담아 랩 포장후 3~5도C 에 저장 |
|
나
무두릅 장기저장을 위한 포장방법및 저장온도는 표3,4에서와 같이 생두릅은 -5~+5도C 저장에서는 포장방법에 |
관
계없이 장기저장이 불가능하였으나 -15도C저장에서는 무포장은 물론 포장방법에 관계없이 210일간 저장이 |
가
능하였다. 데친두릅은 3~5도C 저장에서는 선도가 4일이상 유지된 처리가 없어 장기저장이 불가능하였으나 |
-3~-5
도C 저장에서는 무포장 저장은 불가능하나 유공비닐, 랩포장, 진공포장 모두 210일간 저장이 가능하였다. |
저
장온도별 저장 가능기간은 생두릅의 경우 3~5도C 저장은 12일, -5~-7도C 에서는 저장 불가능, -10도C 저장은 |
60
일간 -15도C 저장은 210일간 저장이 가능하였다. 데친두릅은 3~5도씨에서는 4일, -5도씨에서는 90일, |
-7.5
도씨 저장은 150일, -10도씨,-15도씨 저장은 210일간 저장이 가능하였다. |
|
9. 특수재배 |
1)
노지 조기재배 |
2
월 중순경 두릅나무 상단에 비닐 봉지를 씌우거나 지베레린을 처리하여 보통 재배보다 수확기를 10여일 |
앞
당기고 품질도 높이는 방법으로 비닐 봉지 씌우기와 지베레린 처리를 병행하면 더욱 효과적임 |
두
릅나무 가지 끝에 폭6cm, 길이 20cm 정도의 긴 자루를 만들어 씌우되 지베레린
처리는 1~2ppm 농도로 가지 |
끝
의 정아 또는 측아에 분무함. |
비
닐봉지는 흑색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재료비가 크게 들지 않아 쉽게 활용이 가능함. |
위
와같이 처리하여 생산되는 두릅은 일찍 출하되기 때문에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고 두릅의 크기가 균일 할 뿐 |
아
니라 잎이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햇빛을 차단하여 경화를 지연시키며 두릅의 크기를 크게 하는 효과가 있음. |
2)
하우스 삽수 재배 |
정
강의 경우 하우스 삽수재배를 이용하여 봄 두릅순의 동해피해를 방지한다고 함. |
야
생이나 노지재배 포장에서 자란 두릅나무의 삽수를 채취하여 하우스에서 일찍 기르는 방식이다. |
삽
수 치상은 보통 자생종과 신구 품종은 1월 중순에 자오 품종은 1월 하순에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이보다 |
빠
르면 출현도 고르지 않고 상품율이 매우 낮으며 이보다 늦으면 상품율은 다소 높으나 출하 단가가 낮음. |
삽
수 길이는 20~50cm 까지 다양하겠으나 길이가 길수록 수량이 많아지며 길이가 같은 것끼리 골라 100개씩 |
한
다발로 묶어 치상한다. |
치
상후 처음 일주일간은 삽수가 건조하지 않도록 자주 관수하면서 서늘하게 관리하고 그 후 서서히 온도를 |
올
려 싹을 티우되 매일 2~3회 관수한다. |
주
간온도는 20~25도씨, 야간에는 10~15도씨 관리 |
3)
촉성재배 |
두
릅나무 촉성재배는 비닐하우스 내에서 수경재배, 모래재배, 톱밥재배에 의하여 12월 부터 다음해 3월 |
하순까지 실행하고 있다. |
그
러나 두릅나무 새순은 전년도 가지에 형성된 겨울눈이 저온(0도씨 이하)을에서 일정한 기간(60~80일간)을 |
지
나야 발순되는 생리적인 휴면성으로 인하여 발순에 필요한 온도조건(20도씨)을 주어도 발순되지 않는다. |
하
지만 생장조절물질인 지베렐린(농도 1,500ppm)을 상단부의 겨울눈에 처리하면 휴면기간에 관계없이 |
가
지삽목 17~25일 후에 발순이 가능하게 된다. |
|
*
표7. 촉성재배 재료별 신초생장량 |
|
재배재료 |
처리일자 |
새순발생일자 |
소요일수 |
새 순 생 장 |
|
직경(cm) |
길이(cm) |
중량(g) |
|
수경재배 |
2월3일 |
2월19일 |
17일 |
1 |
8 |
5 |
|
모래재배 |
2월3일 |
2월22일 |
20일 |
0.8 |
8 |
4.5 |
|
톱밥재배 |
2월3일 |
2월27일 |
25일 |
0.8 |
6.7 |
4.3 |
|
새
순의 조기생산을 위해서는 야외에서 자라고 있는 가지를 잘라서 실내(온도18~25도씨)에서 수경재배, |
모
래재배, 톱밥재배로 새순을 유도하여 조기에 상품으로 생산하여 소득을 올릴수 있다.(표 7 참조) |
촉
성 재배 방법은 단위면적당 많은 본수를 재배할 수 있는 수경재배가 가장 유리하고 30평 규모의 시설 |
온
실에서 300kg정도의 새순을 생상할 수 있으며, kg당 시장가격 5,000원 내외일때 1,500천원의 조수익을 |
올
릴수 있다. 그러나, 수경재배를 위해서는 수온을 올릴 수 있는 보일러 시설이 필요하고, 새순을 유도 |
할
수 있는 두릅나무의 어미나무를 3~4ha 조성하여 그 곳에서 생산되는 가지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