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9월 4일 목요일

용접용어



이하 텍스트는 첨부파일 내용의 일부분 입니다.

첨부파일 - 용접용어.zip (hwp파일)

--------------------------------------------------------------

각장 / leg length
필릿용접부의 단면에서 루트부로부터 토우부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고온균열 / hot crack, hot cracking, solidification cracking
용접시 발생하는 일차결함으로서 응고온도범위 또는 그 직하의 비교적 고온에서 용접부의 자기수축과 외부구속등에 의한 인장스트레인(또는 응력)과 균열에 민감한 조직이 존재하면 발생하는 용접부의 균열을 말한다.  주로 용접금속에서 발생하지만 열영향부의 부분용융역에서 발생하기도 한다.  고온균열은 표에 나타낸바와 같이 발생온도 및 장소, 발생원인, 형태 등에 따라 응고균열(solidfication crack), 액화균열(liquation crack), 연성저하균열(ductility-dip crack)로 세분된다.

Type Ⅰ
(편석균열)
TypeⅠA
 응고균열 (용접금속)
TypeⅠB
 액화균열 (HAZ)
TypeⅠC
 액화균열 (용접금속/다층용접)
Type Ⅱ
(연성저하균열)
TypeⅡA
 연성저하균열 (HAZ)
TypeⅡB
 연성저하균열 (용접금속/초층)
TypeⅡC
 연성저하균열 (재가열된 용접금속/다층용접)

고온균열은 발생장소에 따라 비드균열(bead crack)과 크레이터균열(ctater crack)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비드균열은 종균열(longitudinal crack), 횡균열(transverse crack), 호상균열(弧狀, arc-like crack)로 구분된다.  먼저 종균열은 비드방향에 평행한 균열로서 주된 원인은 용접비드의 횡방향 수축력이라고 알려져 있다.  또한 횡균열은 비드방향에 직각으로 발생되는 것으로 종방향의 응력에 기인하며, 비드가 용접선 방향으로 신축과 만곡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한다.  호상(弧狀)균열은 비드파에 수직방향으로 발생하는 균열로서 용접금속의 연성이 부족하고 모재 또는 용접봉의 S함량이 많으며, 냉각속도가 지나치게 빠른 경우에 발생한다.  한편 크레이터 균열은 냉각속도가 바르고 크레이터처리가 불량한 경우에 발생되며 발생위치 및 형태에 따라 종균열, 횡균열, 스타균열(star shape crack)로 구분된다.  그 밖에도 설퍼균열(sulphur crack), 이형균열(梨形, pear shape crack), 열영향부 액화균열등도 고온균열의 범주에 포함된다.
  고온균열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저융점 화합물을 쉽게 형성하는 성분과 P, S와 같은 불순물원소를 저감시키고, 응고과정에서 인장응력을 완화시킬수 있도록 용접부의 형상에 대한 배려도 필요하다.

구속도 / restraint factor
가열, 냉각등에 의한 재료의 자유스런 팽창과 수축을 억제하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자유스런 팽창에 대한 구속도가 클수록 압축구속응력(compressive restraint stress)이 커져서 압축소성변형을 한다.  한편, 자유스런 수축에 대한 구속도가 크면 인장구속응력(,tensile restraint stress)이 커져서 용접시 균열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균열 / crack
연성이 저하하여 물질의 내부에 발생하는 새로운 표면을 말한다.  균열은 일반적으로 저온균열, 고온균열, 노치에 의한 취성파괴균열, 연성파괴균열, 반복응력에 의한 피로파괴균열, 고온 크리프에 의한 입계 점성파괴균열, 결정의 소성변형을 거의 일으키지 않는 입계에서의 파괴인 입계 취성파괴균열 등으로 분류된다.  용접의 경우에는 용접시 및 사용중에 일어나는 균열 또는 파괴로 나눌수 있으며 용접부에는 역학적, 금속학적 응력집중원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특히 주의해야 한다.


그루브 / groove
효율적으로 용접하기 위하여 용접하는 모재 사이에 만들어진 가공부를 말한다.  그림에서 나타낸바와 같이 그루브는 판두께, 용접법, 용접자세 등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상으로 구분된다.  그루브는 기계가공, 열절단 등에 의하여 가공하며 그루브 면의 적삭유, 스케일 등 오염물질은 화학약품, 와이어 브러쉬, 그라인더, 숏블라스트 등으로 깨끗이 제거하여야 한다.


그루브 깊이 / groove depth                                                             
각종 그루브의 그림중에 d로 표시된 깊이를 말한다.

그루브면 / groove face, fusion face                                            
그루브 부분의 표면을 말한다.

그루브 각도 / angle of groove, angle of Vee
그루브용접 이음부에서 양쪽 부재의 용접면이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이명칭은 V형 및 X형 그루브에 많이 사용된다

그루브면 융합불량 / lack of side fusion
이음 그루브면까지 용접금속이 충분히 융합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기공 / porosity
사진과 같이 용접금속의 내부에 생성되는 공동(空洞)을 말한다.  가스포켓(gas pocket)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결함은 용융금속에 용해한 다량의 수소가 응고시에 용접금속으로부터 방출될 때 또는 용융금속 중의 탄소가 산화물과 작용하여 CO가스를 만들고 이 가스가 용접금속의 내부에 잔존하거나 방출도중에 응고가 완료함으로써 생긴다.  모재의 특성, 이음부의 오염, 수분, 용접전류와 아크길이, 급랭 등의 조건이 나쁜 경우에 발생하기 쉽다.
기공은 형태에 따라 그림에 나타낸바와 같이 세 가지로 구분한다.  기포의 성장속도보다 계면의 성장속도, 즉 응고속도가 대단히 빠르면 비드표면에 침으로 찌른것과 같이 크기가 매우 작은 핀홀(pinhole)이 생성된다,  이보다 응고속도가 약간 느리면 기포가 성장한 상태로 응고하므로 구상의 블로우홀(blowhole)이 생성된다.  이와같은 브로우홀 중에서 형태가 길고 좁은 형상의 기공을 웜홀(warmhole)이라고 한다.


노치 / notch
구조물의 불연속부, 용접금속과 모재와의 재질적 불연속 및 용접결함등과 같이 응력이 집중될수 있는 원인이 되는 것을 총칭한다.  용접부에서는 각종균열, 용입불량, 언더컷, 슬래그 혼입과 같은 용접결함들이 노치에 해당된다.  금속학적으로는 국부적으로 취화 또는 연화되어 그 부분에서 균열이 발생하기 쉬운 위치, 예를 들면 아크 스트라이크 또는 열영향부 등도 노치에 포함된다

덧살 / reinforcement of weld, weld reinforcement, excess weld metal
이음부를 채우고 남은 여분의 용착금속을 말한다.  동일한 두깨의 소재를 접합한 맞대기 용접부에서는 소재의 표면 위로 형성된 용착금속을 의미하지만 필릿 용접부(convex fillet weld)에서 각장과 각장을 연결한 직선보다 돌출된 부분을 의미한다.


돌출길이 / stick-out, electrode extension
접촉팁의 끝에서 와이어가 돌출해 있는 길이를 말한다.

루트 / root
아래보기 용접이음부에서 그루브의 아래부분을 말한다.  V, U, J형 그루브에서는 일정한 각도로 그루브가 가공된 부재의 가장 근접한 부분, Ⅰ형 그루브에서는 백킹재에 접한 부분, 그리고 필릿 이음에서는 두 부재 표면의 교차선이다

루트간격 / root gap, root opening
그루브 하부의 간격을 말한다.

맞대기 용접 / butt welding
두 모재가 서로 평행한 표면이 되도록 마주보고 있는 상태에서 실시하는 용접을 말한다.  맞대기 용접에서는 아크용접, 일렉트로 슬래그용접, 전자빔용접, 저항용접, 가스용접 및 마찰용접 등 각종 용접법이 이용된다.


MAG 용접 / metal active gas(MAG) welding
CO2, Ar과 CO2와의 혼합가스 등 산화성의 실드가스를 사용하고 용접와이어를 전극으로 하는 아크용접의 총칭을 말한다.  흔히 Ar80%+CO220%의 혼합가스를 실드가스로 하는 가스메탈 아크용접을 지칭하기도 한다.


모재 / base metal, parent metal
용접 또는 절단 등 가공의 대상이 되는 재료를 말한다.  특히 용접 또는 열절단에 의해 열영향부를 받지 않은 부분을 용접금속이나 열영향부와 대비하여 모재라고 부른다.
증착 혹은 표면개질 등에서는 피가공물을 모재라고 부른 경우가 있지만 표준어는 기재(substrate)이다

반자동 / seni-automatic (arc) welding
용접 와이어의 송급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이용하고, 용접토치의 조작은 손으로 하는 아크용접법을 말한다.  반자동 아크 용접은 기계회된 수동요접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용극식의 반자동 아크 용접기는 용접토치, 와이어 송급장치, 제어장치, 아크용접 전원 및 보호가스 실린더 등 부속기기로 구성되어 있다.  용접토치는 용접 와이어를 용접부에 정확히 인도함과 동시에 용접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소전류용이나 플럭스코어드 와이어용은 공랭식 토치가 널리 이용되지만 대전류 가스실드 아크 용접에는 수냉식을 주로 사용한다.  보호가스는 와이어와 동축으로 토치선단에서 분출시킨다.  직경이 작은 용접 와이어를 이용하는 토치는 와이어 송급장치를 토치와 일체화하는 것도 있다
솔리드 와이어용 용접전원은 직류 정전압 특성이 일반적이지만 플럭스코어드 와이어용은 교류수하특성의 용접전원이 사용된다.  제어장치는 와이어의 송급제어, 용접전원의 개페 또는 제어, 보호가스의 송급 및 정지 등을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반자동  아크 용접기는 CO2 용접을 비롯한 가스메탈 아크용접(GMAW)에 주로 이용되며 가스텅스텐 아크용접(GTAW)에서는 용가재(와이어)의 송급만을 자동화한 것이 이 범주에 포함된다.

백비드 / penetration bead, back bead
용접이음부의 용접표면에 대하여 뒷면에 형성된 용접비드를 말한다.  편면 1패스 맞대기 용접에서 완전용입 용접(full penetration welding)을 행한 경우에는 뒷면에 완전용입으로 형성된 비드를 백 비드라고 부른다.  그러나 X그루브 등으로 가공된 후판재의 양면 용접에서는 앞면의 용접부에 대하여 뒷면에 형성된 용접비드를 의미한다.

백킹 / backing
맞대기 이음을 편면 완전용입 용접버으로 실시할 경우 동종 또는 이종이 금속판이나 입상 플럭스 등을 루트 뒷면에 받쳐 놓은 것을 말한다.  이 경우 같은종류의 금속을 사용하여 동시에 용접하는 후판의 맞대기 이음은 표면과 뒷면 모두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작업환경이 한쪽에서만 용접해야 하는 경우 또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대입열 편면 완전용입 용접을 하는 경우에 충분한 용입을 확보하고 용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백킹을 사용한다.
백킹방법은 철강 용접에서 CI와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을 이용하여 모재만 용접하는 방법,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서 플럭스를 이용하는 방법 또는 불활성가스를 이용하는 방법등이 있다.


베벨 / bevel
어떤 면을 경사지게 비스듬히 가공하는 것을 말한다

보호가스(일반용접) / shielding gas (for general welding)
용접중에 아크와 용융금속을 둘러싸서 공기가 용접 분위기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가스를 말한다.  용접용 가스이 종류로서는 CO2, Ar, O2, N2, He, H2 등이 있다.  이들가스중에서 CO2, Ar과 같이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과 CO2와 Ar, Ar과 O2의 혼합가스 등을 사용하는 것이 잇다.  이들 보호가스는 다음표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각종 가스실드 아크 용접에 응용되고 있다.

보호가스
아크 안정성
용적이행성
산 화 성
적용용접법
Ar
조금 양호
조금 양호
없  음
TIG, MIG 용접
Ar+(1~5%)O2
양  호
양  호
조금 큼
MIG 용접
Ar+(5~20%)CO2
양  호
양  호
조금 큼
MIG, MAG 용접
CO2
조금 불량
조금 양호

CO2 용접


비드 / bead
용접선을 실시하는 1회의 용접작업 또는 그 궤적을 패스(pass)라고 하며, 1회의 패스로 만들어진 용접금속을 비드라고 한다.  운봉법에 따라 직선비드(stringer bead)와 위빙비드(veaving bead)로 구분된다.  전자는 직선상으로 놓는 비드로서 폭이 좁은 반면 후자는 위빙의 횡운동에 의해 폭이 결정되므로 당연히 폭이 넓다.  일반적으로 그루브의 1층째의 용접에는 즈로 직선비드로 용접하지만 표면쪽으로 갈수록 그루브의 폭이 넓어지기 때문에 위빙비드로 용접한다.


수동용접 / manual welding, hand welding
용접작업시 용가재의 공급과 토치의 이송을 수동으로 하는 용접을 말한다.  반자동 및 자동용접에 대응하는 말이며, 일반적으로 피복 아크용접봉을 이용하는 용접법을 통칭한다.  수동용접은 장소의 제약이 적고 간편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아래보기, 수직, 위보기, 수평 등의 다양한 용접자세의 적용이 가능한다.

수소량 시험 / hydrogen determination test
용착금속 또는 용접금속이 함유하는 확산성 수소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시험을 말한다.  강의 용접부중에 포함하는 수소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에는 진공중에서 고온으로 가열하여 전체수소를 방출시켜 정량화하는 진공추출법(vacuum extraction method)과 상온에서 방출되는 확산성수소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용접부에는 확산성수소와 비확산성수소가 존재하며 이 중 유해한 것은 결정격자 내를 자유롭게 이동할수 있는 원자상의 확산성수소이다.  확산성수소량의 측정시험헤는 가스크로매토크래피법(gas chromatography process)과 글리세린치환법(glycerin replacing process)등이 있다.
가스크로매토그래피법은 용접 후 급랭시킨 시험편을 밀봉용기에 넣고 45℃에서 72시간 유지하여 용접금속에서 확산되어 나오는 수소량을 측정한다.  글리세린치환법은 용접후 급랭시킨 시험편을 눈금이 있는 포집기에 넣고 45℃의 글리세린 중에 72시간 침적하여 용접금속에서 확산되어 나오는 수소량을 측정한다.  그 밖에도 확산성 수소량의 측정방법으로서는 수은법 등이 있다.

스패터 / spatter
용융용접 중 용융금속의 미세한 입자가 주위로 튀어나가는 현상을 말한다.이것은 아크력에 의해 와이어 끝에서 튀어나가는 것, 단락후의 아크 재점호(arc reignition)시에 크게 작용하는 아크력에 의한 것 및 용융지 내부의 가스분출에 의한 것등이 있지만 주로 용접아크의 안정성과 관련된다.  스패터의 일부는 모재에 고착하여 외관을 나쁘게 하고 자동화에도 장애요인으로 작용한다.
스패터 발생률 / spatter generation ration
아크용접시 용접중에 발생하는 스패터를 단위시간(minute)당의 무게(g)로 나타내거나 사용한 총 와이어의 중량에 대한 발생 스패터의 중량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스프레이 이행(아크용접) / spray transfer (in arc welding)
Ar가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실드가스 분위기에서 용접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특징 전류에서 용적의 크기가 급격히 변화한다.  이러한 전류를 천이전류라고 하며, 용접전류가 천이전류보다 낮은 경우에는 입상용적 이행이 나타나고 그 이상일때에는 와이어의 직경보다 작은 용적들이 초당 수백회정도의 높은 빈도수로 이행하는 현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이행형태를 스프레이 이행이라고 하며 입상용적 이행이 스프레이 이행으로 바뀌는 천이전류는 용접재료의 화학조성 및 와이어 직경에 따라 변한다.  스프레이 이행행태는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프로젝티드(projected)이행, 스트리밍(streaming) 이행 및 회전(rotating)이행등으로 구분된다.

슬라그 / slag
금속을 용해하거나 용접시에 플럭스와 반응하여 생긴 비교적 융점이 낮은 비금속 물질인 유리질융체를 말한다.  주로 Al2O3, SiO2 등의 산화물이 주체로 되어 있다.  용접 슬래그는 용접비드 표면을 덮게 되며, 슬래그의 적당한 화학반응에 의해 용접금속을 정련하거나 보호한다.

슬래그 박리성 /  detachability of slag, femovability of slag
응고한 슬래그가 용착금속 표면에서 떨어지는 특성을 말하며, 슬래그의 화학조성과 물리적 성질에 의해 좌우된다.  피복 아크용접봉의 작업성을 판정하기 위한 중요 항목으로서 용접작업의 능률에 큰 영향을 미친다.  슬래그 박리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성분을 조정하여 팽창계수를 작게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슬래그가 덮인 비드 위를 햄머로 두들겨 슬래그가 용이하게 제거되는지 여부로 판정한다.

아래보기 자세 / flat position
용접축이 거의 수평인 이음부에 대하여 위에서부터 아래를 향하여 실시하는 용접자세를 말한다.

아크 / arc
두 개의 서로 다른 전극사이에 있는 기체가 도전성 매개체 즉 플라즈마(plasma)로 되어 이루어지는 전기적 방전을 말한다.  통상 아크는 저전압 대전류의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플라즈마로서 고온이고 강한 빛을 발생하게 되므로 용접용 전원에 많이 이용된다.

아크기둥 / arc column
두 개의 서로 다른 전극사이에서 형성된 아크에서 음극 전압 강하구역과 양극전압 강하구역을 제외한 플라즈마 기둥을 말한다.  아크기둥의 부피는 아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전기적으로 중성이며 그 전압은 아크길이에 비례한다.  아크기둥은 저항열에 의해 고온을 유지하며 고온에 의한 압력과 아크 내부로 작용하는 펀치력에 의한 압력이 평형을 이루어 아크가 유지된다.


아크길이 / arc length
양극과 음극사이에 형성된 아크의 길이를 말한다.  아크길이는 아크전압에 거의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며 아크를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인자이다.  좋은 용접을 하기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짧은 아크가 좋으며, 수동용접에서는 시선의 직경과 거의 동등한 것이 좋다.  아크 길이가 지나치게 길면 아크가 불안정하며, 일반적으로 용입이 얕고 비드폭이 넓어지고 용착금속이 산화나 질화되기 싶다.


아크안정성 / arc stability
아크의 발생과 지속을 안정되게 하는 것을 정성적으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아크이 안정성은 아크 구성에 관여하는 물질의 종류(분위기, 플ㅤㄹㅓㄳ, 슬래그, 모재와 시선의 화학성분, 표면상황 등)전원의 종류와 특성, 용접전류, 아크전압 외에 용융지의 상태나 용접자세에도 영향을 준다.  직류아크에는 재점호라는 문제가 없으므로 교류아크보다 훨씬 안정하고, 얇은 판을 소전류로 용접할수도 있다.  교류용접아크가 낮은 전원전압으로 안정하게 재점호하기 위하여는 전원의 극성이 전환하여 양극간에 새롭게 전압이 가해지기까지의 사이, 즉 아크 중단시간이 충분히 짧아야 한다. 그리고 아크공간은 온도가 그다지 저하하지 않고 충분히 전리한 상태에 있으며 또한 새롭게 음극으로 되는 점이 전자 방출하는 능력을 잃지 않아야 한다.  그러므로 교류아크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용접기의 무부하 전압(open circuit voltage)을 높게 하거나 피복 아크용접의 개선이나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의 적용 등에 따라 전극간 공간의 도전성 유지와 양전극의 온도저하를 방지하고 재점호를 쉽게 하고 있다.  또한 고주파의 약전류(고전압)을 병용하면 아크의 발생 및유지를 쉽게 할수 있개 때문에 소전류를 이용한 얇은 판의 용접이나 TIG 용접에 이용된다.


아크력 / arc force
아크가 발생하여 용융지를 밀어붙이게 되는 힘을 말한다.  아크력은 일반적으로 전류의 제곱과 전압의 곱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용융지의 깊이가 얕은 고속용접에서 아크력이 커지면 언더컷 또는 험핑비드가 자주 발생한다.

아크쏠림 / arc blow, magnetic arc blow, magnetic blow of arc
아크가 전류의 자기작용에 의하여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아크쏠림이라 말한다.  직류에서 피복되지 않은 나봉(裸棒)을 사용하는 경우에 많이 나타나는 현상으로 용접전류의 아크주위에 유기되는 자장이 아크에 대하여 비대칭인 경우에 발생한다.  용접을 시작하는 부분과 끝내는 부분에서 아크가 안쪽 방향으로 강하게 쏘리게 되며 이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교류용접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 낮은 전압일수록 아크가 짧고, 직진성이 강하여 높은 전압일때와 비교하여 아크솔림의 영향이 적게 나타난다.


예열 / preheating
용접 또는 가스절단 작업 전에 모재를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말한다. 예열은 용접부 또는 가스절단부의 냉각속도를 느리게 하여 열영향부의 경화 정도를 완화시키고 용접부에 존재하는 확산성수소의 방출을 조장하여 용접부의 저온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모재의 판 두께가 10mm미만이고 구속이 없을 경우에는 예열을 하지 않아도 된다.  Cu 및 Al 합금은 열전도도가 매우 크므로 아크열량의 부족으로 인한 용융불량 현상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예열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다.
예열범위 (preheating range)는 용접부 근방만을 가열하는 것은 좋지 않고 용접부 양ㅤㄱㅡㅌ에서 50~100mm 또는 판 두께의 3배 거리의 지점이 소정이 온도에 도달하도록 가열한다.
적당한 예열온도는 모재의 화학조성(탄소당량), 두께, 구속정도, 사용용접봉의 종류, 용접 입열량 등에 따라서 변화한다.  예열하는 방법은 가스토치 가열법, 전기저항 가열법, 로 가열법, 적외선 가열법 등이 있으며 용접 대상물이 작은 경우에는 전기로, 기스로를 이용하기도 한다.

와이어 송급장치 / wire feel unit, wire drive unit
와이어를 스풀(spool) 또는 릴(reel)에서 뽑아 토치 케이블을 통해 용접부까지 일정속도로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와이어 송급장치는 송급모터, 감속장치, 송급롤 및 송급속도 제어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용가재 / filler metal (filler material)
용접시 용착금속이 되도록 용융시킨 금속(재료)를 말한다.
브레이징 및 솔더링 공정중에 열원에 의하여 접합간격 내에 채워주는 금속(재료)을 용가재라고 하지만 일반적으로 브레이징에서는 삽입금속(insert metal)이라고 하며, 솔더링에서는 주로 솔더라고 한다.
용락 / burn through, melt through
아크의 발생에 의해 형성된 용융금속이 그루브의 반대측으로 녹아 떨어지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용락은 루트간격이 너무 크거나 입열량(heat input)이 과대한 경우에 주로 발생하게 된다.
용융금속이행 / transfer of molten metal
용접시 용가재의 끝이 용융하여 유동성이 좋은 액체금속으로 되어 용융지로 옮겨가는 현상을 말한다.  용적이행이라고도 한다. ⅡW에서 정리한 이행형태의 분류와 GMAW에서 특징적인 이행현상은 아래표과 모식도에 나타낸바와 같다
국용접학회(ⅡW)의 금속이행 현상 분류

이행현상 명칭
용접기법 (예)

1) 자유비행(free flight)이행
  ㆍ입상용적(globular)이행
    - 드롭(drop)이행
    - 반발(repelled)이행
  ㆍ스프레이(spray)이행
    - 프로젝티드(projected)이행
    - 스트리밍(streaming)이행
    - 회전(rotating)이행
  ㆍ폭발(explosive)이행


저전류 GMAW
CO2 GMAW

중저전류 GMAW
중전류 GMAW
고전류 GMAW
SMAW
2) 브리징(bridging)이행
  ㆍ단락(short circuiting)이행
  ㆍ연속브리징(bridging without interruption)
GMAW(단락조건), SMAW
용가재를 첨가하는 용접
3) 슬래그 보호(slag-protected)이행
  ㆍ플럭스유도(flux-wall guided)이행
  ㆍ기타
SAW
SMAW, FCAW, ESW
    (a) 입상용적이행         (b) 반발이행
    (c)프로젝티드이행        (d)스트리밍이행
    (e)회전이행              (f)폭발이행
    (g)단락이행


용융지 / WELD POOL, MOLTEN POOL
용접시 용융금속이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곳을 말한다.  용융지의 형상이나 깊이는 용접공정의 주요한 제어변수가 된다.

용입 / penetration
모재가 용접열원에 의해 깊이방향으로 녹아 들어가는 현상을 말한다.  또는 모재가 깊이방향으로 녹아 들어간 깊이 즉 용입깊이를 지칭하는 경우도 있다

용입깊이 / depth of fusion, joint penetration, root penetration, weld penetration
모재가 용접열원에 의해 깊이 방향으로 녹아 들어간 깊이를 말한다.

용입불량 / incomplete penetration, lack of penetration
용접이음부에서 원하는 용입깊이가 얻어지지 않은 상태의 불량을 말한다.  완전용입 용접부에서 미용착부가 있으면 용입불량이고 부분용입 용접부에서도 정해진 용입깊이가 얻어지지 않으면 용입불량이라고 할수 있다


용적이행 / droplet transfer, metal transfer
아크 공간을 통하여 용접봉 또는 용접와이어의 선단으로부터 모재측으로 용융금속이 이행하는 것을 말한다.
이행형식은 보호가스나 전류에 의하여 달라지며 크게 다음과 같은 세 형식으로 나눌수 있다.

(1) 스프레이이행(spray transfer) : 용적의 크기가 와이어 직경보다 적게 되어 스프레이상으로 이행하는 것      을 말한다.  Ar에 CO2 가스 또는 소량의 산소를 혼합한 보호가스 분위기에서 중, 고전류밀도의 경우에       발생하기 쉽다.
(2) 입상 용적이행(golbular transfer) : 용적이 와이어 직경보다 큰 덩어리로 되어 이행하는 것을 말한다.       CO2 가스 분위기에서 중, 고전류밀도 및 아크의 길이가 긴 경우에 발생하기 쉽다.  글로뷸러이행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3) 단락이행(short circuiting transfer) : 전극선단의 용적이 모재와 단락하여 이행하는 것을 말한다.  저전      류로 아크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 발생하기 쉽다.


용접 그대로 / as welded
용접한 그대로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용접 후 용접금속 및 열영향부 등에 열처리, 피닝 등으로 인한 재질적인 변화나 용접부 표면가공 등의 형상적인 변화를 가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용접길이 / length of weld, weld length
용접되어야 할 용접선의 길이 또는 중단되지 않고 용접된 부분의 길이를 말한다.

용접부 / weld, weld zone
용접금속 및 열영향부를 포함하는 부분을 총칭한다.  용융용접의 용접부는 그람과 같이 몇 개의 영역으로 상세하게 구분되기도 한다.
 - 완전혼합역(composite region)은 모재와 용접재료가 용융하여 완전히 혼합된 영역을 말한다.
 - 미혼합역(unmixed zone)은 모재는 완전히 용융되었지만 용접재료와 전혀 혼합되지 않았거나 불완전한 상     태로 응고한 부분으로서 불완전 혼합역이라고도 한다.
 - 부분용융역(partially melted zone)은 완전혼합역, 미혼합역과 고상영역의 사이에 존재하는 천이영역을 말     한다.
 - 용융선(fusion line)은 미혼합역과 부분용융역의 경계선이지만 통상 용접금속과 열영향부의 경계선을 의미     한다.
 - 용접열영향부(HAZ)는 용융선과 모재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으로 고상에서 조직변화가 일어난 부분을 말한다.


용접성 / weldability
용접성은 모재를 어떤 용접법으로 용접할 때 만족한 접합부를 얻을 수 있는지 또는 용접이음부가 그 구조물의 사용목적을 만족할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도라고 정의하며, 통상 재료에 대한 용접의 난이도를 나타내기 위한 성질이라고 할수 있다.
용접성은 크게 용접시공상의 용접성 또는 접합성(joinability), 용접구조물의 사용성능에 관한 용접성(performance)으로 구분된다.  용접성은 좁게는 전자만을 의미하지만 넓게는 후자까지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용접성은 좁게는 전자만을 의미하지만 넓게는 후자까지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용접속도 / welding speed, travel speed
용접토치를 이송하여 비드를 형성시키는 속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1분당 만들어지는 비드의 길이로 표시된다.  그 단위는 cm/min, mm/s등으로 표시한다


용접시공설명서 / welding procedure specification(WPS)
용접이음부를 설계대로 용접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공관련 정보를 기록한 설명서를 말한다.  이 설명서에는 통상모재, 용접법, 이음형상, 용접자세, 용가재, 용접조건(전류, 전압, 속도 등), 열처리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용접자세 / welding position
용접자가 용접할 때 용접축에 대한 자세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아래보기자세9flat position), 수평자세(horizontal position), 수직자세(vertical position), 위보기자세(overhead position) 및 수평필릿자세(horizontal fillet position)등으로 나누어진다,


용접후열처리 / post weld heat treatment, PWHT
용접후 주로 용접잔류응력 및 용접열영향부의 조직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열처리를 말한다.  간단히 PWHT라고도 한다.  넓은 의미로서 후열도 같은 의미를 갖지만 일반적으로  PWHT는 온도관리를 하는 열처리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로(爐)를 사용하지 않고 가스염이나 전기히터를 사용한 국부적인 용접후열처리도 실시되고 있다.  응력제거열처리와 스테인리스강 용접부의 용체화처리 등이 PWHT에 포함된다.


용착금속 / deposited metal
용접에 의해 용가재가 용융하여 모재에 용착한 금속을 말한다.


위빙 / weaving
용접토치가 접합부를 가로질러 왕복하며 이송되도록 하여 비드폭이 넓어지게 하거나 그루브 양쪽이 융합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취하는 토치의 조작을 말한다.  위빙은 용접비드 폭을 크게 해주고 오버랩을 방지하며 슬래그 형성을 돕는 역할을 한다.  간혹 'wash welding'이라 부르기도 한다.
용착효율 / deposition efficiency
용접봉 또는 와이어의 소모중량에 대하여 형성된 용착금속의 중량비율을 말한다.  용접봉 또는 와이어가 용융한 금속의 일부는 스패터 등에 의해 감소한다.  경제성의 측면에서 사용하고 남은 용접봉을 포함하여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  피복 아크 용접봉의 경우 사용하고 남은 것은 소모중량에 포함시키지 않으며, 소모중량은 피복제를 제외한 심선만에 대해 용착금속의 중량비율로 나타낼수도 있다.
용사의 경우에는 소모된 용사재료의 중량에 대한 용사층의 중량비율을 말한다


입열 / heat input, energy input
용접시에 외부로부터 용접부에 가해지는 열량을 말하며 용접입열(welding heat input)이라고도 한다.  아크용접에서는 아크가 용접비드의 단위길이(1cm)당 발생하는 전기적 열에너지H(J/cm)로 나타낸다.  아크전압 E(V), 아크전류 1(A), 용접속도 v(cm/min)로 하면 H=60EI/v(J/cm)로 주어진다.  또 용접입열의 몇 %가 모재에 흡수되었는가의 비율을 아크의 열효울(thermal efficiency of arc)이라고 부른다.


저온균열 /  cold crack, cold cracking
용접후 용접부의 온도가 대체로 200℃이하의 저온에서 발생하는 균열을 총칭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실온까지 냉각한 후 일정한 기간이 경과한 후에 발생하기도 하며, 이러한 균열을 지연균열(delayed cracking)이라고 한다.
저온균열의 발생에는 주로 구속응력과 경화조직 및 확산성 수소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균열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구속응력을 완화시키고 탄소와 같은 경화원소를 비록한 합금원소의 첨가를 줄이며 특히 용접봉의 건조 및 강재의 예열 등을 통한 확산성수소량을 최소화시킬수 있도록 배려하여야 한다.  규열은 대부분 입내균열이이지만 입계균열이 일부 혼재하는 형태로도 나타난다.  균열이 발생하는 장소는 주로 경화되기 쉬운 열영향부지만 용접금속에서도 발생한다.  비드밑균열, 토우균열, 루트균열, 라멜라테어 등 고장력강의 용접부에서 발생하는 많은 종류의 균열이 저온균열에 포함된다.


정극성 / straight polarity, DC electrode negative, DECN
직류아크용접시의 접속법으로 피용접물을 전원의 양그에 용접봉 또는 전극을 음극에 접속하는 경우를 말한다.  아크의 극성에 따라 양극의 발열 분배가 달라진다.  TIG용접에서는 텅스텐 전극의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봉을 음극으로 하는 정극성을 채용한다.  즉 정극성이란 용어는 TIG용접의 극성배채에 의해 결정된 것이다.  반면에 가스메탈 아크 용접에서는 용접와이어가 음극이고 모재가 양극인 정극성으로 연결하면 모재의 용입은 작게 되고 와이어는 많이 용융하며 아크는 불안정하므로 좋지 않다.  따라서 국제용접학회(IIW)에서는 정극성의 표준용어로 DCEN(직류전극 마이너스)를 사용하고 있다

충격시험 / impact test
시험편에 충격적인 하중을 가하여 파괴인성 또는 기타 특성을 평가하는 파괴시험이다.  시험결과는 흡수 에너지 또는 시험편 파괴에 요구되는 일정한 강동의 타격수로 표현된다.  급속 중력하중에서 최대값에 도달할때가지의 사간이 짧은 것을 충격하중이라 한다.  충격시험에는 하중의 종류에 따라 충격인장시험, 충격압축시험, 충격굽힘시험등이 있고 단 1회의 충격으로 시험편을 파단하는 시험과 반복된 충격에 의해 파단하는 시험이 있다

크레이터 / crater
아크 용접의 비드 종단부에서 용융지가 그대로 응고함으로써 생기게 되는 움푹 패인 형상을 말한다.  이 부분은 슬래그나 블로우홀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급랭될수 있기 때문에 내부에 결함이 잔존하기 쉽고 균열의 발생기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용접을 끝내기 직전에 전류를 줄인 상태에서 잠시 아크를 지속시켜 크레이터를 채워주는 크레이터 처리(crater treatment)를 하는 경우도 있다.

크레이터 균열 / crater crack
크레이터에서 발생하는 균열로서 용접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고온균열의 일종이다.  이 균열은 크레이터가 급랭 응고됨으로써 발생하며 형상에 따라 스타균열, 횡균열, 종균열 등으로 구분된다.  이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재료의 선정과 함께 운봉법 또는 용접전류를 조정하여 크레이터 처리를 하여야 한다.  용접전류를 연속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용접전류를 단속(斷續)하는 등의 방법으로 크레이터 처리를 할수 있다.

크레이터 처리 / crater treatment
아크용접에서 크레이터에 발생하는 결함을 방지하기 위한 처리를 말한다.  아크 용접을 실시할 때 용접종류 위치에서 화산의 분화구 즉 크레이터(crater)와 같이 움푹 패인 비드표면이 생기며 그곳에서 균열과 같은 용접결함이 쉽게 생긴다.  크레이터 결하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용접완료 직전에 전류를 서서히 낮추거나(ramp deown 또는 slope down) 아크를 순간적으로 끊었다가 다시 발생시켜 크레이터가 오목하게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퍼짐성 / spreadability
용융솔더 또는 용융삽입금속이 고체인 모재표면에서 확장젖음으로 퍼져 나가는 능력을 말한다.  퍼짐성은 모재, 삽입금속, 플럭스, 분위기에 의존한다.


플럭스 코어드 아크용접 / flux cored arc welding (FCAW)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나 플럭스 코어드 용접봉(flux cored electrode)을 사용하는 아크용접을 말한다.  용융금속과 아크를 대기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가스의 발생원을 내장 플럭스의 연소가스에만 의존하는 방법과 별도의 가스(주로 탄산가스)를 추가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 flux cored wire (FCW)
후프(hoop) 또는 파이프와 같은 외피금속의 내부에 가스발생제, 탈산제, 아크 안정제, 슬래그 형성제등의 플럭스 분말을 충진시킨 용접와이어를 말한다.  FCW는 크게 MAG 용접용과 자체보호(self shield)아크 용접용으로 구분한다.  MAG 용접용은 플럭스의 종류에 따라 슬래그계와 메탈계로 구분하며 또 슬래그계는 타타니아계, 라임티타니아계, 라임계로 구분한다.  슬래그계 와이어는 피복아크 용접봉과 같이 용접후 슬래그가 비드표면을 덮는다.  그러나 메탈계 와이어는 슬래그 형성제가 플럭스중에 거의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슬래그 발생량이 적어 솔리드 와이어처럼 사용할수 있다.
이러한 FCW는 솔리드 와이어(solid wire)에 비해 용착속도가 높고 스패터가 적으며 비드외관이 미려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가격이 비싸고 용착효율이 낮으며 퓸 발생량이 약간 많을뿐 아니라 슬래그를 형성시키는 와이어의 경우에는 슬래그를 제거해야 한다는 단점도 있다.
FCW는 제조능력, 생산성, 용접작업성, 용접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그림과 같이 여러단면형상으로제조되고 있다.


확산성 수소 / diffusible hydrogen
용접금속에 용해된 수소 중 결정격자 내를 자유로이 확산할수 있는 원자상 또는 이온화된 수소를 말한다.  확산성수소는 용접후 실온에서도 장시간 방치하면 거의 전부가 외부로 방출된다.  원자상의 수소는 원자반경이 대단히 작기 때문에 결정격자 내에서 비교적 자유로이 확산할수 있지만 전위등에 고착된 수소 혹은 비금속개재물 등에서 분자상으로 변환 수소 등은 확산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수소를 비확산성 수소(non-diffusible hydrogen)라 한다.  확산성 수소의 측정에는 글리세린치환법, 가스크로매토그래프법, 진공유출법, 수온법 등이 사용된다.
용접금속의 냉각에 따라 확산성수소는 외부로 방출되지만 일부는 모재쪽으로 확산하고, 용착금속중에 수소량이 많을수록 확산량이 많다.  모재쪽으로 확산한 수소는 비드밑균열의 발생에 중요한 원인이 된다.


횡균열 / transverse crack
용접균열을 균열의 발생방향 또는 발생형태로 분류하는 경우 용접비드(용접금속)또는 열영향부에서 용접선에 직각방향으로 발생하는 균열을 말한다.  상대적인 용어로서 용접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발생하는 종균열(longitudinal crack)이 있다


후진용접 / backhand welding, rightward welding
가스용접, 가스텅스텐 아크용접(GTAW), 플라즈마 아크용접 등에서 용가재가 토치의 뒤에서 진행하는 형태의 용접방법을 말한다.  상대 용어로 전진용접(forehand welding)이 있다
용접방향과 용착방향과 관련하여 사용하는 후진법(back step welding of deposition sequence)이라는 용어와는 구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후퇴법(용착순서) / back step welding (of deposition sequence)
용접방향과 용착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용착하는 방법을 말한다.  백스텝용접이라고도 한다.  상재용어로는 전진법(progressive welding of deposition sequence)이있다
후퇴법이라는 용어는 용접순서를 나타내는 의미 외에, 용접기법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후진용접(backhand welding)이라고 하므로 용어사용에 주의하여야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