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가옥의 재료 →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
※전통적인 가옥 재료 → 나무, 흙, 돌, 볏짚
등 (______에 대한 대비가 많다.)
①산간지대 : 목조가옥 (통나무 집 → 귀틀집, 투방집 등)
← 통나무, 너와를 이용 : 개마고원
②평야지대 : 흙벽돌집, 초가집(나무, 흙, 볏짚을 이용)
③제주도 : 돌담집(돌, 흙, 새)
※지붕의 재료 → 지역적 특색을 가장 잘 반영함.
·벼농사 지대 → 볏짚의 초가
지붕
·산림지대 → 너와집(개마고원,
태백산지, 울릉도)
·낙동강하류 → 갈대 지붕
·제주도 → 새(억새풀)
·충북 북동부, 관서지방 →
돌기와(점판암)
▶너와
나무 판자를 기와 크기로 절단하여 지붕을 덮는다.
|
④최근의 가옥 재료 : 보편화(시멘트, 벽돌)
※가옥의 위치 → 음료수, 연료를 얻기 쉬운 곳
가옥의 방향 → 채광, 통풍 고려
(남향, 남동향)
2)가옥의 구조 → 기후 특성을 반영함★★★★★
①겨울이 길고 한랭한 지역 : 폐쇄적 가옥 구조
겹집,
두꺼운 벽, 작은 창문, 낮은 천정 등
②여름이 길고 무더운 지역 : 개방적 가옥 구조
→ 통풍에 유리
홑집,
넓은 대청과 마루, 넓은 창문 등
③강풍 지역 : 그물지붕(제주도)
④다설 지역 : 급경사의 지붕, 우데기, 튼튼한
기둥 등
⑤홍수 위험 지역 : 터돋움 집, 피수대, 높은
축대 설치 등
▶우데기
눈이 많은 울릉도에서 북서풍과 함께 몰아치는 눈이
집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처마 밑에 빙둘러친 방설벽으로
수숫대, 새, 싸리 등을 엮어서 만든다. 눈이 와도 집안에서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식량, 땔감 등을 저장하는 생활 공간으로
이용된다.
|
우리 나라의 가옥은 내부 구조에 따라 겹집과 홑집으로
나된다. 겹집은 대들보 아래 방을 두줄로 배치한 유형으로 관북 지방, 태백 산지, 소백
산지의 양 사면 등 주로 산간 지역에 분포하며 제주도,
변산 반도에도 약간 나타난다. 홑집은 대들보 아래 방이 한 줄로 배치된
가옥을 말하며, 주로 서부
와 남부 지방에 분포한다. 겹집은 추운 지방, 홑집은 더운 지방에 주로
분포한다.
3)우리 나라 전통 가옥 구조 → 기후적 특성을 반영함
가옥의 지역적 특색 : 구분 기준 : 서민층 가옥의 몸채
평면 구조
|
평면형태
|
분포
|
특징
|
관북형
|
ㄱ·田
|
관북지방
강원북부지방
|
폐쇄성이 강하다(긴 겨울 적응)
겹집, 정주간이 있다.
|
관서형
|
ㅡ·ㄱ
|
멸악산맥 이북 관서지방
|
대청이 없고, 부엌과 방사이에 문이 있으며, 부엌에
이어 방이 연속됨
|
중부형
|
ㄱ·ㄷ
|
멸악산맥 이남~차령산맥이북
|
관서형과 남부형의 점이적 성격
기본구조∼안방, 대청, 건넌방
|
남부형
|
ㅡ·二
|
영호남 지방,
강릉이남의 영동지방
|
개방성이 강하다.(여름 더위 적응)
대청과 마루, 툇마루가 넓다.
|
제주형
|
ㅡ
|
제주도
|
부엌과 방이 분리, 고팡이 있다.
|
울릉도형
|
|
울릉도
|
_____에 대한 대비
|
기후와 전통 가옥 → 기후적 특성이 반영됨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