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2월 7일 토요일

(GAME) Mame 기본키 및 단축키




게임 시작
Key (키보드)
내용
1
Player 1 시작 버튼
2
Player 2 시작 버튼
3
Player 3 시작 버튼
4
Player 4 시작 버튼
5
Player 1 동전넣기 버튼
6
Player 2 동전넣기 버튼
7
Player 3 동전넣기 버튼
8
Player 4 동전넣기 버튼



게임 컨트롤
Key (키보드)
내용
방향키
플레이어 조종
Ctrl
A 버튼
Alt
B 버튼
Space
C 버튼
Shift
D 버튼
Z
E 버튼
X
F 버튼

-게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1Player 기준이며 2Player 의 경우 바뀔수 있습니다.
-게임에 따라 보다 적은키, 많은키를 사용할수도 있고 갬블류 건슈팅과 같이 장르에 따라 다릅니다.


게임 중
Key (키보드)
내용
ESC
게임 종료
F1
건슈팅 게임에서 표적표시 On/Off
F2
게임 설정 (게임에 따라 다름)
F3
게임 재시작
F4
색상 팔레트 보기
F6
치트 On/Off
Shift + F7
강제 세이브 게임 (누른후 0~9까지 슬롯 선택)
F7
로드 게임 (누른후 0~9까지 슬롯 선택)
F8
프레임 생략비율 내리기
F9
프레임 생략비율 올리기
F10
프레임 자동제한 On/Off
F11
프레임 수치 표시
F12
스크린샷 저장
~
사운드 볼륨조절/감마조절/화면 밝기조절/오버 클럭킹
TAP
게임중에 마메 설정 메뉴 열기
P
일시정지

2015년 강원도 한옥 건축 지원 사업



2015년 강원도 한옥 건축 지원 사업

아름다운 경관의 전통 건축문화를 계승하고 한옥체험 활동 등 관광활성화를 위해 한옥 건축을 지원 합니다.

■ 사업개요
-사업량 : 15동
-신청자격 : 신청일 이전 도내에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하는 자
※신청인이 법인,단체인 경우 한옥전문위원회에서 지원 여부 결정
-지원기준 : 건축 바닥면적 60㎡ 이상
-지원내용 : 호당 보조금 3천만원 (신축기준,규모에 따른 차등지원)

■ 지원신청 접수(시,군)
-접수기간 : 2015.1.19 ~ 2.27
-접수처 : 시,군 건축부서
-제출서류 : 지원신청서, 대지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서류, 위치도 및 현황사진, 설계도서, 사업비 지출계획서

■ 도에서 신청서 검토 후, 강원도 건축위원회 한옥 전문위원회에서 심사, 지원대상자 선정 및 보조금 금액 등을 결정 합니다.

■ 지원대상자 선정결과 통보
-심사일 : 2015년 4월중
-통보방법 : 도 -> 시군 -> 지원신청자

■문의
-강원도청 건축과(☏033-249-2372)
 평창군의 경우 종합민원과 건축부서 (033) 330-2472,2473,2474

캠핑장(야영장) 야영장업 신설 (허가,등록)


캠핑장(야영장) 야영장업 신설 (관광진흥법 시행령 제2조)

야영객들이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야영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자동차야영장업'외 '일반양영장업'도 관광사업으로 등록합니다.

등록신청 및 경과조치

 제출서류
-사업계획서
-신청인의 성명 및 주민등록번호를 기재한 서류
-부동산의 소유권 또는 사용권을 증명하는 서류
-시설의 평면도 및 배치도

경과조치
-야영장업 등록 시행(2015.1.29) 당시 야영장업을 경영하고 있는 자는 등록요건을 갖추어 2015년 5월 31일까지 등록하여야 함.

※ 공통기준
(가) 침수, 유실, 고립, 산사태, 낙석의 우려가 없는 안전한 곳에 위치
(나) 시설 배치도, 이용방법, 비상 시 행동 요령등을 이용객이 잘 볼 수 있는 곳에 게시
(다) 비상 시 긴급 상황을 이용객에게 알릴 수 있는 시설 또는 장비
(라) 야영장 규모에 따른 소화기 확보, 배치
(마) 야영장 내부 또는 외부에 대피소와 대피로
(바) 비상 시 대응요령 숙지, 관리요원 상주

※ 개별기준
(가) 일반야영장업
-천막 1개당 15제곱미터 이상 공간 확보
-하수도 및 화장실 시설
-긴급상황 발생 시 이용객 이송 가능 차로
(나) 자동차야영장업
-차량 1대당 50제곱미터 이상의 공간 확보
-수용인원에 적합한 상하수도,전기,화장실,취사시설
-야영장 입구까지 1차로 이상 확보, 차량 교행(交行) 가능 공간 확보

강원도 평창군 - 등록처리 및 심의 등 기타문의
문화관광과 관광개발부서 (033) 330-2751


관련자료 다운로드
---------------------------------------------------------------
법·제도 정비를 통한 야영장업 기반조성
2014.06.16
문화체육관광부



『야영장업』업무처리(등록,관리) 가이드라인
2014. 11월
문화체육관광부

---------------------------------------------------------------

2015년 2월 6일 금요일

가족간의 호칭 정리



친가호칭(親家稱號)
관계수
촌수
寸數
내가부를 때
칭호
稱號
내가남에게 말할 때
기지친속
己之親屬
내가나를 말할 때
친속자칭
親屬自稱
칭호의이유
연유
緣由
남의가족을 말할 때
인지친속
人之親屬
1촌 아버지 부친, 가친, 엄친
父親, 家親, 嚴親
아버지
나를 낳아 주신 어른 존대인
尊大人
1촌 어머니 모친, 자친
母親, 慈親
어머니
나를 낳아 주신 어른 자당, 훤당
慈堂, 萱堂




  • 부모양친(父母兩親, 부모 모두)이 생존(生存)하면 구경하(具慶下)
  • 모친(母親, 어머니)만 별세(別世, 돌아가심)하면 엄시하(嚴侍下)
  • 부친(父親, 아버지)만 별세(別世, 돌아가심)하면 자시하(慈侍下)
  • 양친(兩親, 부모)이 다 별세(別世)하면 영감하(永感下)라 합니다.
  • 나의부친 별세 후(父親別世後) 아버지를 선친(先親), 선인(先人) 또는 선고(先考)라 합니다.
  • 나의모친 별세 후(母親別世後)는 선비라 합니다.
  • 남의부친 별세 후(父親別世後)는 선부군(先府君), 선대인(先大人)이라합니다.
  • 남의모친 별세 후(母親別世後)는 선부인(先夫人), 선자당(先慈堂)이라합니다.

  • 관계수
    촌수
    寸數
    내가 부를 때
    칭호
    稱號
    내가 남에게 말할 때
    기지친속
    己之親屬
    내가 나를 말할 때
    친속자칭
    親屬自稱
    칭호의 이유
    연유
    緣由
    남의 가족을 말할 때
    인지친속
    人之親屬
    1촌 할아버지 조부
    祖父
    조부
    祖父
    아버지의 아버지 왕존장
    王尊丈
    1촌 할머니 조모
    祖母
    조모
    祖母
    아버지의 어머니 왕대부인
    王大夫人
    1촌 증조할아버지 증조부
    曾祖父
    증조부
    曾祖父
    아버지의 할아버지
    1촌 증조할머니 증조모
    曾祖母
    증조모
    曾祖母
    아버지의 할머니
    1촌 고조할아버지 고조부
    高祖父
    고조부
    高祖父
    할아버지의 할아버지
    1촌 고조할머니 고조모
    高祖母
    고조모
    高祖母
    할아버지의 할머니




  • 고조할아버지이상(以上)은 오대조(五代祖), 육대조(六代祖), 칠대조(七代祖)로 괴어 올림.
  • 고조제사시(高祖祭祀時)축(祝)에는 고조고(高祖考)라 쓰고 손(孫)은 현손(玄孫)으로씀.

  • 관계수
    촌수
    寸數
    내가 부를 때
    칭호
    稱號
    내가 남에게 말할 때
    기지친속
    己之親屬
    내가 나를 말할 때
    친속자칭
    親屬自稱
    칭호의 이유
    연유
    緣由
    남의 가족을 말할 때
    인지친속
    人之親屬
    1촌 아들 가아,돈아
    家兒,豚兒
    소자
    小子
    내가 낳은 자식 賢胤,胤玉
    며느리 자부
    子婦
    아들의 처 자부
    子婦
    1촌 여식,여야
    女息,女阿
    여식
    女息
    내가 낳은 딸 영애
    令愛
    1촌 손자 손자
    孫子

    아들의 아들 영손
    令孫
    1촌 손녀 손녀
    孫女
    손녀
    孫女
    아들의딸
    2촌 맏형 백형,사백
    伯兄,舍伯

    형제간 영백씨
    令伯氏
    맏형수 형수
    兄嫂
    맞형의 처
    2촌 둘째형 중형
    仲兄
    이형
    二兄
    형제간 영중씨
    令仲氏
    둘째형수 둘째형수 둘째형의 처
    2촌 셋째형 숙형
    叔兄
    삼형
    三兄
    형제간 영숙씨
    令叔氏
    셋째형수 셋째형수 셋째형의처
    2촌 아우 아제
    阿弟
    사제
    舍弟
    형제간 영계위
    令季位
    제수 제수
    弟嫂
    동생의처




  • 누나 : 나 보다 먼저 난 아버지의 딸, 누나, 여형제 남매, 영씨(令氏)
  • 누이 : 나 보다 뒤에 난 아버지의 딸,  ㅇ실(室)이, 여형제 남매, 영매씨(令妹氏)

  • 관계수
    촌수
    寸數
    내가 부를 때
    칭호
    稱號
    내가 남에게 말할 때
    기지친속
    己之親屬
    내가 나를 말할 때
    친속자칭
    親屬自稱
    칭호의 이유
    연유
    緣由
    남의 가족을 말할 때
    인지친속
    人之親屬
    3촌 맏아버지 백부
    伯父
    백부
    伯父
    아버지의맏형 존종부
    尊從府
    맏어머니 백모
    伯母
    백모
    伯母
    아버지의맏형수 존백모
    尊伯母
    3촌 둘째아버지 중부
    仲父
    중부
    仲父
    아버지의둘째형 존종부
    尊從府
    둘째어머니 중모
    仲母
    중모
    仲母
    아버지의둘째형수 존중모
    尊仲母
    3촌 셋째아버지 숙부
    叔父
    사숙
    舍叔
    아버지의셋째형 존종부
    尊從府
    셋째어머니 숙모
    叔母
    숙모
    叔母
    아버지의셋째형수 존숙모
    尊叔母
    3촌 끝아버지 계부
    季父
    계부
    舍叔
    아버지의아우 존종부
    尊從府
    끝어머니 숙모
    叔母
    숙모
    叔母
    아버지의제수 존숙모
    尊叔母
    3촌 조카 종자,아질
    從子,阿姪
    종자
    從子
    형제의아들
    질부 질부
    姪婦
    질부
    姪婦
    형제의며느리
    4촌 종형제 종형,종제
    從兄,從弟
    종형,종제
    從兄,從弟
    백부,숙부의 아들 영종씨
    令從氏
    종수 종형수
    從兄嫂
    종수
    從嫂
    백부,숙부의
    며느리
    4촌 종조 종조
    從祖
    종조
    從祖
    할아버지의형제
    종조모 종조모
    從祖母
    종조모
    從祖母
    할아버지의
    형제,형수
    4촌 종손 종손
    從孫
    종손
    從孫
    형제의손자
    종손부 종손부
    從孫婦
    종손부
    從孫婦
    형제의손부
    5촌 종숙 종숙
    從叔
    종숙
    從叔
    아버지의
    사촌형제
    종숙장
    從叔丈
    종숙모 종숙모
    從叔母
    종숙모
    從叔母
    아버지의
    사촌형제의처
    5촌 종질 종질
    從侄
    종질
    從侄
    사촌형제의아들 영종질
    令從侄
    종질부 종질부
    從侄婦
    종질부
    從侄婦
    사촌형제의며느리
    6촌 재종형제 재종형,재종제
    再從兄,再從弟
    재종형,재종제
    再從兄,再從弟
    오촌의아들 영재종씨
    令再從氏
    재종수 재종수
    再從嫂
    오촌의며느리
    6촌 재종조 재종조
    再從祖
    재종조
    再從祖
    할아버지의사촌형제
    재종조모 재종조모
    再從祖母
    재종조모
    再從祖母
    할아버지의사촌의 처
    6촌 재종손 재종손
    再從孫
    재종손
    再從孫
    사촌형제의손자
    재종손부 재종손부
    再從孫婦
    재종손부
    再從孫婦
    사촌형제의손부
    7촌 재종숙 재종숙
    再從叔
    재종숙
    再從叔
    아버지의육촌형제
    재종숙모 재종숙모
    再從叔母
     재종숙모
    再從叔母
    아버지의
    육촌형제의처
    7촌 재종질 再從侄 再從侄 육촌의아들
    재종질부 재종질부
    再從侄婦
     재종질부
    再從侄婦
    육촌의며느리
    8촌 삼종형제 삼종형제
    三從兄弟
    삼종형,삼종제
    三從兄,三從弟
    아버지의
    칠촌의 아들
    영삼종질
    令三從侄
    삼종수 삼종수
    三從嫂
    아버지의
    칠촌 아들의 처




  • 8촌(八寸)까지는 유복내(有服內)라 하고 9촌(九寸)부터는 복(服)이 없으므로 면복(免服)이라합니다.
  • 9촌(九寸)이 넘으면 족형(族兄), 족숙(族叔)이라 하며 본인(本人)에 대해서는 택호(宅號)를 부쳐 아무아제, 아무형이라 부릅니다.


  •  시가호칭(媤家稱號)
    내가 부를 때
    칭호
    稱號
    내가 남에게 말할 때
    기지친속
    己之親屬
    내가말할 때
    친속자칭
    親屬自稱
    칭호의 이유
    연유
    緣由
    남의 말할 때
    인지친속
    人之親屬
    아버님 시부
    媤父
    시아버지 남편의아버지
    어머님 시모
    媤母
    시어머니 남편의어머니
    아주버님 시숙
    媤叔
    남편의형
    형님,새댁 동서
    同棲
    남편의형의 처
    되렴,아지벰 시동생
    媤同生
    시동생 남편의남동생
    형님,아가씨 시자매
    媤姉妹
    시누이 남편의여형제
    맏아버님 시백부
    媤伯父
    시백부
    媤伯父
    남편의맏아버지
    맏어머님 시백모
    媤伯母
    시백모
    媤伯母
    남편의맏어머니
    끝아버님 시숙부
    媤叔父
    시숙부
    媤叔父
    남편의끝아버지
    끝어머님 시숙모
    媤叔母
    시숙모
    媤叔母
    남편의끝어머니
    **아주버님 시종숙부
    媤從叔父
    시종숙부
    媤從叔父
    남편의오촌
    **아주머님 시종숙모
    媤從叔母
    시종숙모
    媤從叔母
    남편의오촌의 처




  • 시고모(媤姑母) : ㅇㅇ아주머님(ㅇㅇ는 택호가 아니고 시집 마을이름)
  • 시사촌형(媤四寸兄)은 시종숙(媤從叔)이지 종시숙이 아닙니다.


  •  외가호칭(外家稱號)
    관계 수
    촌수
    내가 부를 때
    칭호
    稱號
    내가 남에게 말할 때
    기지친속
    己之親屬
    내가 나를 말할 때
    친속자칭
    親屬自稱
    칭호의 이유
    연유
    緣由
    남의 가족을 말할 때
    인지친속
    人之親屬
    외할아버지 외조
    外祖
    외옹
    外翁
    어머니의아버지 존외왕부
    尊外王父
    외할머니 외조모
    外祖母
    외조모
    外祖母
    어머니의어머니
    3촌 외아제 외삼촌
    外三寸

    외조부의아들
    외아주머니 외숙모
    外叔母
    외조부의며느리
    4촌 외사촌 내종형,내종제
    內從兄,內從弟
    외삼촌의아들
    4촌 외종자매 외종자,외종매
    外從姉,外從妹
    외삼촌의딸
    외종수 외종수
    外從嫂
    외삼촌의며느리
    5촌 외오촌 외종숙
    外從叔
    어머니의사촌
    6촌 외육촌 외재종형제
    外再從兄弟
    어머니의사촌아들
    진외가 진외가
    陳外家
    아버지의외가
    증외가 증외가
    曾外家
    할아버지의외가
    고외가 고외가
    高外家
    증조할아버지의외가
    시외가 시외가
    媤外家
    남편의외가
    외외가 외외가
    外外家
    어머니의외가


     고모가호칭(姑母家稱號)
    관계 수
    촌수
    내가 부를 때
    칭호
    稱號
    내가 남에게 말할 때
    기지친속
    己之親屬
    내가 나를 말할 때
    친속자칭
    親屬自稱
    칭호의 이유
    연유
    緣由
    남의 가족을 말할 때
    인지친속
    人之親屬
    3촌 고모 고모
    姑母
    고모
    姑母
    아버지의자매
    고모부 고모부
    姑母夫
    인말
    姻末
    고모의남편
    4촌 고종사촌 고종형,고종제
    姑從兄,姑從弟
    표종형,표종제
    表從兄,表從弟
    고모의아들
    고종수 고종수
    姑從嫂
    고모의며느리
    5촌 종고모 종고모자매
    從姑母姉妹
    종고모
    從姑母
    아버지의사촌
    7촌 재종고모 재종고모자매
    再從姑母姉妹
    아버지의육촌
    존고모 존고모
    尊姑母
    아버지의고모




  • 고모(姑母)의 부름말은 ㅇㅇ아주머니
  • 고모부(姑母夫)의 부름말은 ㅇㅇ새아제
  • 존고모(尊姑母)의 부름말은 ㅇㅇ할머니
  • 존고모부(尊姑母夫)의 부름말은 ㅇㅇ새할아버지
  • 고종사촌형(姑從四寸兄)이 외종형(外從兄, 표종)이고, 외사촌형(外四寸兄)이 내종형(內從兄)임.
  • 남자의 경우 고종(姑從)의 며느리에게는 "나 ~습니다"라는 삼가말을 사용해야됩니다.


  •  이모가호칭(姨母家稱號)
    내가 부를 때
    칭호
    稱號
    내가 남에게 말할 때
    기지친속
    己之親屬
    내가 나를 말할 때
    친속자칭
    親屬自稱
    칭호의 이유
    연유
    緣由
    남의 가족을 말할 때
    인지친속
    人之親屬
    이모 이모
    姨母
    이모
    姨母
    어머니의여형제
    이모부 이모부,종모부
    姨母夫,從母夫
    인말
    姻末
    이모의남편
    이종사촌 이종형,이종제
    姨從兄,姨從弟
    이형,이제
    姨兄,姨弟
    이모의아들
    이종수 이종수
    姨從嫂
    이모의며느리
    이종질 이종질
    姨從姪
    이종질
    姨從姪
    이종형제의아들
    종이종 종이종
    從姨從
    어머니의여사촌의 아들
    존이종 존이종
    尊姨從
    아버지의이종


     처가호칭(妻家稱號)
    내가 부를 때
    칭호
    稱號
    내가 남에게 말할 때
    기지친속
    己之親屬
    내가 나를 말할 때
    친속자칭
    親屬自稱
    칭호의 이유
    연유
    緣由
    남의 가족을 말할 때
    인지친속
    人之親屬
    장인 장인
    丈人
    처의아버지 존악장
    尊岳丈
    장모 장모
    丈母
    처의어머니
    처남 처남
    妻男
    부제
    婦弟
    처의남형제
    처남댁 처남댁
    妻男宅
    처의남형제의 처
    처형,처제 처형,처제
    妻兄,妻弟
    처의여형제
    동서 동서
    同緖
    아제
    阿弟
    처의여형제의 남편
    처질 처질
    妻姪
    부질
    婦姪
    처의친정조카
    처질부 처질부
    妻姪婦
    처의친정조카의 처
    처삼촌 처삼촌
    妻三寸
    인말
    姻末
    처의친정삼촌
    처사촌 처사촌
    妻四寸
    부종제
    婦從弟
    처의친정사촌

    • 처가(妻家)에는 귀(貴)한 손(손님)의 대접(待接)을 받기에 취객(娶客)의 예절(禮節)을 갖추어야 되므로
      특히 말하기에 신경(神經)을 써야합니다.
    • 장인(丈人), 장모(丈母)에게 데릴사위로 장가간 경우(境遇)가 아니면 절대 아버님, 어머님이란 부름말을 사용(使用)해선 아니되고,
      그렇게 할 경우에는 자신(自身) 및 자식(子息)의 성(姓)도 장인(丈人)의 성을 따름이 옳을 것입니다.
    • 처남(妻男), 동서(同緖)에게는 절대로 형(兄)님이라는 부름말을 사용(使用)해서는 않됩니다.
    • 처(妻)에게는 자기 보다 여덟살 이상(以上)이 되는 경우(境遇) "하소"말을하고
      여덟살까지는 "하게말"을 사용해야하며, "~습니다"라는 말을 하지 않는 것이 원칙(原則)입니다.
    • 처당여자(妻黨女子, 처가집 가족의 여자)들 가운데 장모급(丈母給)과
      그 위급(上級)인 장조모(丈祖母)급에서는 "예, 저 ~습니다"말인 공경(恭敬)말을 사용(使用)해야 되고,
      그 아래에 든 여자(女子)들에게는 모두"예, 내 ~습니다"말인 삼가말을 사용해야 됩니다.
      특히 처제, 처남딸, 처남며느리, 처남손녀, 처남손부에게"해라"말을 사용하는 경우를 연속극에서 보는데 이는 잘못된 경우라 생각됩니다.
    • 처숙모(妻叔母)되는 사람은 질(姪, 조카)에게 "나 ~습니다"라는 삼가말을 사용해야 됩니다.


     자매가호칭(姉妹家呼稱)
    내가 부를 때
    칭호
    稱號
    내가 남에게 말할 때
    기지친속
    己之親屬
    내가 나를 말할 때
    친속자칭
    親屬自稱
    칭호의 이유
    연유
    緣由
    남의 가족을 말할 때
    인지친속
    人之親屬
    누나 자씨
    姉氏
    누나 아버지의딸 영매씨
    令姉氏
    자형 자형
    姉兄
    인제
    姻弟
    아버지의사위
    매부 매부
    妹夫
    인제
    姻弟
    아버지의사위
    누이동생 매씨
    妹氏
    남편성을따라 ㅇㅇ실 아버지의딸 영매씨
    令妹氏
    생질 생질
    甥姪
    생질
    甥姪
    자매의아들 현생군
    賢甥君
    생질부 생질부
    甥姪婦
    생질부
    甥姪婦
    자매의며느리




  • 자형의 부름말은 새형입니다.
  • 매부의 부름말은 ㅇ서방입니다.


  •  여식가호칭(女息家呼稱)
    내가 부를 때
    칭호
    稱號
    내가 남에게 말할 때
    기지친속
    己之親屬
    내가 나를 말할 때
    친속자칭
    親屬自稱
    칭호의 이유
    연유
    緣由
    남의 가족을 말할 때
    인지친속
    人之親屬
    여식 여식,여아
    女息,女阿
    여식
    女息
    내가낳은 딸
    사위 천군 외생
    外甥
    딸의남편
    외손자 외손자
    外孫子
    외손
    外孫
    딸의아들
    외손부 외손부
    外孫婦
    외손부
    外孫婦
    딸의며느리


     족척간호칭(族戚間呼稱)
    부르는 말
    칭호
    稱號
    상대를높여 부르는 말
    존행자칭
    尊行自稱
    자신을 낮추어 칭할 때
    비행자친
    卑行自稱

    족종, 족인
    族從, 族人
    족제, 족질, 족손
    族弟, 族姪, 族孫
     척
    척종, 척인
    戚從, 戚人
    척제, 척질, 척손
    戚弟, 戚姪, 戚孫




  • 족척(族戚) : 같은 성이나 다른 성의 겨례붙이
  • 족(族) : 한 조상에서 갈라져 나온 같은 혈통의 무리
  • 척(戚) : 친족이 아닌 겨레붙이의 관계, 곧 고종(姑從), 내종(內從), 외종(外從) 등의 관계


  •  종인간호칭(宗人間呼稱)
    부르는 말
    칭호
    稱號
    상대를 높여 부를 때
    존귀자칭
    尊貴自稱
    자신을 낮추어 말할 때
    비유자칭
    卑幼自稱
    동등할 경우의 말할 때
    평등자칭
    平等自稱
    종인 종인,종말
    宗人, 宗末
    종하생
    宗下生
    종제
    宗弟




  • 종인(宗人) : 한 겨레붙이 가운데 촌수가 먼 일가, 동족의 사람


  •  사돈간칭호(査頓間稱號)
    부르는 말
    칭호
    稱號
    나를 말할 때
    인친자칭
    姻親自稱
    칭호의 이유
    연유
    緣由
    어린사람에게 자신을 말할 때
    연유자칭
    年幼自稱
    사돈
    査頓
    사제
    査弟
    며느리의아버지
    딸의시아버지
    첨소제,첨시생
    사부인
    査夫人
    사돈의처
    사장
    査丈
    사돈의아버지 
    노사장
    老査丈
    사돈의할아버지
    사하생
    査下生
    사하생
    査下生
    사돈의아들 사하생
    査下生


     별기친속(別記親屬)
    • 외조(外祖), 외손(外孫), 외삼촌(外三寸), 생질(甥姪), 처부(妻父), 서(壻, 사위), 외사촌(外四寸), 고종사촌(姑從四寸)
      : 이상은 비록 이성(異姓, 성이 다름)이나 친속(親屬, 친척에속합니다)이라 칭(稱)합니다.


     별기인친(別記姻親)
    • 사돈(査頓), 고모부(姑母夫), 종모부(從母夫, 이모의 남편), 처삼촌(妻三寸), 이질(姨姪), 처질(妻姪), 처형(妻兄),
      처제(妻弟), 자부(姉夫), 매부(妹夫), 동서(同緖), 질서(姪緖)
      : 이상은 비록 근친(近親, 가까운 친척)하나 인친(姻親, 인애人愛, 결혼관계에 의하여 성립)이라 칭(稱) 합니다.

    가족호칭과 촌수

    대상 내가 부를 때 나를 지칭할 때 내가 남에게 말할 때 남이 나에게 말할때
    조부 [생존시] 할아버지, 할아버님, 조부주
    [사후] 현조고
    [생존시] 저, 소손, 불효손
    [사후] 고손, 효손
    [생존시] 조부, 왕부, 노조부
    [사후] 조고, 선왕부
    [생존시] 조부장, 왕부장, 왕존장
    [사후] 왕대인
    조모 [생존시] 할머니, 할머님, 조모주
    [사후] 현조비
    [생존시] 저, 소손, 불효손
    [사후] 애손, 효손
    [생존시] 조모, 왕모, 노조모
    [사후] 조비, 선왕모
    [생존시] 왕대부인, 존왕대부인
    [사후] 선왕대부인
    [생존시] 아버지, 아버님, 부주
    [사후] 현고
    [생존시] 저, 소자, 불효자
    [사후] 고자, 효자
    [생존시] 가친, 엄친, 노친
    [사후] 선고, 선친
    [생존시] 춘부장, 춘장, 춘당
    [사후] 대인, 선고장
    [생존시] 어머니, 어머님, 자주
    [사후] 현비
    [생존시] 저, 소자, 불효자
    [사후] 애자, 효자
    [생존시] 자친, 자정
    [사후] 선비
    [생존시] 자당, 훤당
    [사후] 대부인, 선자당
    부모
    동시
    [생존시] 부모님, 양위분
    [사후] 부모님, 양위분
    [생존시] 저, 소자, 불효자
    [사후] 고애자, 효자
    [생존시] 양친
    [사후] 선고비 양위
    [생존시] 양당
    [사후] 선대인 양위
    남편 [생존시] 당신, 여보, 서방님, 군자
    [사후] 현벽
    [생존시] 저, 나, 졸처, 우처
    [사후] 주부
    [생존시] 남편, 주인, 바깥양반, 가군, 가부, (어른에게)사랑, 저
    [사후] 망부
    [생존시] 현군, 양군자, 부군, 주인어른
    [사후] 선영군자
    아내 [생존시] 당신, 여보, 마누라, 부인
    [사후] 망실, 고실
    [생존시] 저, 졸부
    [사후] 부
    [생존시] 내자, 안사람, 형처, 실인, (어른에게)제댁, 안사람
    [사후] 망처
    [생존시] 부인, 영부인, 합부인, 현합
    [사후] 고영부인
    아들 이름이나 별명, 애, 돈아 애비, 나, 여 자식, 가아, 가존 자제, 영식, (큰아들)영윤
    이름이나 별명, 애, 여아 애미, 나, 여 딸, 여아, 여식, 가교 따님, 영애, 영교
    손자 이름이나 별명, 손아 나, 할아버지, 조부, 여 손아, 손녀, 가손 영포, 영손, 현손
    형, 형님, (시)아주버님, 형주 저, 나, 동생, 아우, 사제 사형, 큰형, 작은형 큰형, 작은형
    형수 아주머니, 형수, 형님 저, 생수제 형수씨, 큰형수, 작은형수 영형수씨
    이름이나 별명, 도련님, 서방님 나, 형, 사형 아우, 동생, 사제, 가제, 시동생 제씨, 영제씨
    제수 제수씨, 동서, 자네 생, 나 제수, 계수 영제수씨, 영계수씨
    누나 누나, 누님, 언니, 형님, 자주 저, 나, 동생, 사제 자씨, 매씨 영자씨
    누나
    남편
    자부, 자형, 형부 저, 처남, 처제
    누이
    동생
    이름이나 별명, 사매, 작은아씨, ㅇㅇ서방댁 나, 오빠, 오라비, 사형 내누이, 사매 영매씨
    누이동생남편 제부, 매제 나, 처남, 처형
    시누이남편 서방님 처남댁 시누이남편 시누이남편
    백숙부 큰아버지, 백부주, 중부주, 숙부주 저, 나, 조카, 사질, 유자, 종자 사백부(큰), 사중부(둘쨰), 사숙부(세쨰), 계부(막내) 백완장, 중완장, 완장
    백숙모 큰어머니, 백무주, 중무주, 숙무주 저, 나, 조카, 사질, 유자, 종자 사백모(큰), 사중모(둘쨰), 사숙모(세쨰), 계모(막내) 백모부인, 중모부인, 숙모부인
    고모 아주머니, 고모님, 고모주 저, 나 , 가질 비고모 존고모부인
    고모부 아저씨, 고모부님, 고숙주 저, 부질 비고숙 존고숙장
    당숙
    부모
    아저씨, 아주머니, 당숙, 당숙모님 저, 종질, 당질 비종숙, 비종숙모 종완장, 존당숙모부인

    외가

    대상 내가 부를 때 나를 지칭할 때 내가 남에게 말할 때 남이 나에게 말할때
    외조부 외할아버지, 외조부, 외조부주 저, 외손, 저손 외왕부 외왕존장, 외왕대장
    외조모 외할머니, 외조모, 외조모주 저, 외손, 저손 외조모 외왕대부인
    외숙, 외숙모 아저씨, 외숙, 내구주, 표숙모주 저, 생질, 표질 비외숙, 비표숙 귀외숙, 귀표숙
    이모 아주머니, 이모, 이모주 저, 이질 비이모 귀이모

    처가

    대상 내가 부를 때 나를 지칭할 때 내가 남에게 말할 때 남이 나에게 말할때
    장인 장인어른, 빙장어른, 외구주 저, 외생 비빙장 귀악장
    장모 장모님, 빙모님, 외고주 저, 외생 비빙모 존빙모부인
    사위 ㅇㅇ서방, 이름부름 나, 여빙고 사위, 서아, 가서 서랑, 현윤


    계촌법



         1.직계 가족(直系 家族)


     5촌
    현조부(玄祖父)
    |
     4촌

     6촌
    고조부(高祖父)
    종고조(從高祖)
    |
    |
     3촌

     5촌
     7촌
    증조부(曾祖父)
    종증조(從曾祖)
    재종증조(再從)
    |
    |
    |
     2촌

     4촌
     6촌
     8촌
    조부(祖父)
    종조(從祖)
    재종조(再從祖)
    3종조(三從祖)
    |
    |
    |
    |
     1촌

     3촌
     5촌
     7촌
     9촌
    부(父)
    백숙부(伯叔父)
    종백숙부(從伯)
    재종백숙부(再從)
    3종백숙부(三從
    |
    |
    |
    |
    |
    0촌

     2촌
     4촌
     6촌
     8촌
    10촌
    나(己)
    형,제(兄,弟)
    종형제(從兄弟)
    재종형제(再從)
    3종형제(三從)
    4종형제(四從)
    |
    |
    |
    |
    |
    |
     1촌
     3촌
     5촌
     7촌
     9촌
    11촌
    아들(子)
    질(姪)
    종질(從姪)
    재종질(再從姪)
    3종질(三從姪)
    4종질(四從姪)
    |
    |
    |
    |
    |
     2촌
     4촌
     6촌
     8촌
    10촌
    손자(孫)
    종손(從孫)
    재종손(再從孫)
    3종손(三從孫)
    4종손(四從孫)




         2.내종간(內從間)


     4촌
    고조(高祖)
    |
     3촌

     5촌
    증조(曾祖)
    증대고모(曾大姑母)
    |
    |
     2촌

     4촌
     6촌
    조(祖)
    대고모(大姑母)
    내재종조(內再從祖)
    |
    |
    |
     1촌

     3촌
     5촌
     7촌
    부(父)
    고모(姑母)
    내종숙(內從叔)
    내재종숙(內再從叔)
    |
    |
    |
    |
    0촌

     2촌
     4촌
     6촌
     8촌
    나(己)
    자매(姉妹)
    내종형제(內從兄弟)
    내재종형제(內再從)
    내3종형제(內三從 )
    |
    |
    |
    |
    |
     1촌
     3촌
     5촌
     7촌
     9촌
    딸(女)
    생질(甥姪)
    내종질(內從姪)
    내재종질(內再從姪)
    내3종질(內三從姪)
    |
    |
    |
    |
    |
     2촌
     4촌
     6촌
     8촌
    10촌
    손녀(孫女)
    이손(離孫)
    내재종손(內再從孫)
    내3종손(內三從孫)
    내4종손(內四從孫)




         3.외종간(外從間)


     4촌
    외고조(外高祖)
    |
     3촌

     5촌
    외증조(外曾祖)
    외종증조(外從曾祖)
    |
    |
     2촌

     4촌
     6촌
    외조 (外祖)
    외종조(外從祖)
    외재종조(外再從祖)
    |
    |
    |
     3촌

     1촌

     3촌
     5촌
     7촌
    이모(姨母)
    모(母)
    외숙(外叔)
    외종숙 (外從叔)
    외재종숙 (外再從叔)
    |
    |
    |
    |
    |
     4촌
     0촌
     4촌
     6촌
     8촌
    이종형제 (姨母)
    나(己)
    외종형제 (外從)
    외재종형제 (外再從)
    외3종형제(外三從)
    |
    |
    |
    |
     5촌
     5촌
     7촌
     9촌
    이종질 (姨從姪)
    외종질(外從姪)
    외재종질(外再從姪)
    외3종질(外三從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