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8월 8일 금요일

생활 공간 - 가옥

1)가옥의 재료 →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
   ※전통적인 가옥 재료 → 나무, 흙, 돌, 볏짚 등 (______에 대한 대비가 많다.)
 ①산간지대 : 목조가옥 (통나무 집 → 귀틀집, 투방집 등) ← 통나무, 너와를 이용 : 개마고원
 ②평야지대 : 흙벽돌집, 초가집(나무, 흙, 볏짚을 이용)
 ③제주도 : 돌담집(돌, 흙, 새)

※지붕의 재료 → 지역적 특색을 가장 잘 반영함.
     ·벼농사 지대 → 볏짚의 초가 지붕
     ·산림지대 → 너와집(개마고원, 태백산지, 울릉도)
     ·낙동강하류 → 갈대 지붕
     ·제주도 → 새(억새풀)
     ·충북 북동부, 관서지방 → 돌기와(점판암)
▶너와
나무 판자를 기와 크기로 절단하여 지붕을 덮는다.
 ④최근의 가옥 재료 : 보편화(시멘트, 벽돌)
   ※가옥의 위치 → 음료수, 연료를 얻기 쉬운 곳
     가옥의 방향 → 채광, 통풍 고려 (남향, 남동향)

2)가옥의 구조 → 기후 특성을 반영함★★★★★
   ①겨울이 길고 한랭한 지역 : 폐쇄적 가옥 구조
                                겹집, 두꺼운 벽, 작은 창문, 낮은 천정 등
   ②여름이 길고 무더운 지역 : 개방적 가옥 구조 → 통풍에 유리
                                홑집, 넓은 대청과 마루, 넓은 창문 등
   ③강풍 지역 : 그물지붕(제주도)
   ④다설 지역 : 급경사의 지붕, 우데기, 튼튼한 기둥 등
   ⑤홍수 위험 지역 : 터돋움 집, 피수대, 높은 축대 설치 등
▶우데기
눈이 많은 울릉도에서 북서풍과 함께 몰아치는 눈이 집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처마 밑에 빙둘러친 방설벽으로 수숫대, 새, 싸리 등을 엮어서 만든다. 눈이 와도 집안에서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식량, 땔감 등을 저장하는 생활 공간으로 이용된다.
  우리 나라의 가옥은 내부 구조에 따라 겹집과 홑집으로 나된다. 겹집은 대들보 아래 방을 두줄로 배치한 유형으로 관북 지방, 태백 산지, 소백 산지의 양 사면 등 주로 산간 지역에 분포하며 제주도, 변산 반도에도 약간 나타난다. 홑집은 대들보 아래 방이 한 줄로 배치된 가옥을 말하며, 주로 서부 와 남부 지방에 분포한다. 겹집은 추운 지방, 홑집은 더운 지방에 주로 분포한다.

3)우리 나라 전통 가옥 구조 → 기후적 특성을 반영함
  가옥의 지역적 특색 : 구분 기준 : 서민층 가옥의 몸채 평면 구조

평면형태
분포
특징
관북형
ㄱ·田
관북지방
강원북부지방
폐쇄성이 강하다(긴 겨울 적응)
겹집, 정주간이 있다.
관서형
ㅡ·ㄱ
멸악산맥 이북 관서지방
대청이 없고, 부엌과 방사이에 문이 있으며, 부엌에 이어 방이 연속됨
중부형
ㄱ·ㄷ
멸악산맥 이남~차령산맥이북
관서형과 남부형의 점이적 성격
기본구조∼안방, 대청, 건넌방
남부형
ㅡ·二
영호남 지방,
강릉이남의 영동지방
개방성이 강하다.(여름 더위 적응)
대청과 마루, 툇마루가 넓다.
제주형
 ㅡ
제주도
부엌과 방이 분리, 고팡이 있다.
울릉도형

울릉도
_____에 대한 대비
  기후와 전통 가옥 → 기후적 특성이 반영됨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