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8월 15일 금요일

여름 농사에 쓰이던 농기구

물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벼농사에 있어서 물대기는 여름 농사의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댐과 양수기 등 수리시설이 미비했던 시절에는 용두레나 맞두레로 종일 물을 퍼야했다. 아울러 김매기와 병충해 방제도 빼놓을 수 없는 작업이다.


도롱이
이풀을 촘촘히 엮어 어깨에 걸쳐두르는 재래식 우장(雨裝)이다. 조선시대에는 누역(縷繹)이라 하였다.


호미
김을 매는 무딘 날의 소도구로 크게 논호미(우측3개)와 밭호미(좌측2개)로 나뉘고 지방과 토질에 따라 그 모양새가 약간씩 다르게 나타난다.

 
살포
논의 물꼬를 트거나 막을 때 쓰는 도구인데 논둑에서 벼의 생육상태를 살펴보기 위해 벼를 젖혀볼 때 쓰기도 한다. 다양한 모양의 쇠날에 자루를 끼워 사용하였다. 부농은 신분을 과시하듯 거추장스러울 정도로 긴 자루를 끼웠다.


소매장군
소매장군은 오줌을 담아 나르는 배가 불룩한 원통형 용기이다. 여러 장의 널판지를 몸퉁과 마구리에 둘러대고 대나무쪽으로 묶어 만들었다. 


보리홀태
보리의 이삭을 따내는 데 쓰이며, 홀태의 날이 둥글고 일렬로 반듯하게 배열되었다. 따낸 이삭을 다시 도리깨나 작대기로 두들겨 타작하는 경우가 많아 활용도는 낮았다. 


애기지게
지게는 무거운 짐을 어깨와 등에 걸쳐 전신의 힘으로 질 수 있도록 자연목을 이용하여 만든 전래의 운반구이다. 이 지게는 논두렁이나 산에서 소먹일 꼴 등을 베어오는데 사용한 아동용이다. 


맞두레
웅덩이나 낮은 곳에 고인 물을 논에 퍼올릴 때 쓰는 도구이다. 두 사람이 마주서서 호흡을 맞추면서 작업을 한다.

출처 - http://www.gnedu.net/cdrom/%C3%CA%B5%EE/%BB%E7%C8%B83-2/%C1%F6%BF%AA%C8%AD%C0%DA%B7%E1/11_%C0%C7%B7%C9%B1%BA/122-2.ht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