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8월 23일 토요일

당근재배기술


당근 재배 기술 

1. 재배관리

1) 본포준비
○ 당근은 직근성이므로 깊이갈이 하는 것이 효과적
○ 유기질 비료 투여로 토양 물리 화학성 개선 후 파종
○ 파종 1개월 전 완숙퇴비 1,500kg, 소석회 100kg 살포 후 30cm 경운

2) 시비 및 이랑 만들기
○ 표준시비 추천량 : 질소 24kg, 인산 20kg, 칼리 24kg
  - 인산전량과 질소 및 칼리는 50%를 밑거름으로 밭 전면 뿌린 후 경운
○ 선충 및 토양해충 방제를 위해 선충제 및 토양 살충제 살포
○ 이랑 만들기 : 4줄 재배 시 이랑은 90cm, 통로 30~40cm


3) 파종시기
○ 파종시기 : 수확 날짜를 기준으로 조생종 90일, 만생종 120일 기준 역산하여 파종 날짜 결정
○ 하우스 및 터널 : 12월 중순~1월 하순, 봄재배 : 3월 하순
여름재배 : 4월 중순~ 6월 상순, 가을재배 : 7월 하순~8월 중순
○ 주의할 점 : 지나치게 조기에 파종하면 꽃눈분화로 장다리 발생

4) 파종량 및 파종방법
○ 파종량 결정 : 파종방법, 포장상태, 기상상태에 따라 다름
○ 파종량(10a) : 기계파종 1~1.5L, 손으로 파종시 1.5~2.5L
○ 파종방법 : 롤러식 기계 이용으로 생력화 재배 가능
○ 복토 : 기계파종 시는 자동으로 복토가 되지만 손으로 파종 시에는 약 5mm 정도 복토 필요
○ 복토가 깊으면 발아시간 오래 걸리고, 생육불균일하고, 너무 얕으면 배축이 짧고, 생육초기 비바람에 쓰러지기 쉬움
○ 파종 후 장기간 건조가 예상 될 경우 관수 실시

 <그림 토양 수분함량과 발아율과의 관계>

5) 솎음

○ 속음횟수 : 1~2회 로 나누어서 실시
○ 솎음시기 : 1회 본엽 3~4매, 2회 본엽 5~6매때 실시
○ 최종간격 : 포기당 150~200g 생산을 위해 7~15cm 간격으로 실시
○ 복토 : 기계파종 시는 자동으로 복토가 되지만 손으로 파종 시에는 약 5mm 정도 복토 필요
○ 솎음할 개체 : 병든 개체, 생육이 지나치게 왕성하거나 약한 것, 잎색이 다른 것
○ 솎음 시 주의 사항 : 너무 늦으면 뿌리 손상이 커 생육이 지연되고, 지나치게 빠르면 생육이 억제되고

    옆 포기 뿌리가 상할 염려 있음

<당근 솎음작업>

6) 웃거름주기
○ 추비 횟수 : 3회
○ 추비 시기 : 1회 파종 후 35~45일, 2회 50~55일, 3회 60~70일
○ 추비량 : 표준시비량 중 질소 및 칼리질 비료는 전량의 1/2~2/3을 추비로 3회 나누어 시용

7) 관수 및 수분관리
○ 최적 수분량 : 포장 용수량의 70~80%
○ 다습하면 근색이 엷고, 당근 표면이 거칠고 수확 시 열근이 많음
○ 건조하면 길이가 길어지고, 불균일하면 쪼개지는 현상이 증가하고, 표면에 굴곡이 져 상품성이 저하

8) 북주기
○ 당근 뿌리 상단이 햇볕에 노출되면 녹색으로 변해 상품가치 저하
○ 수확 1개월 전 북을 주어 지상부 뿌리가 보이지 않게 함
○ 제주도 화산회토의 경우 비나 태풍으로 인하여 흙이 유실되어 뿌리 상단부 노출이 심하므로 북주기가 필요

19) 멀칭재배
○ 멀칭재배는 조기수확 및 수량증대 목적
○ 웃거름 주기가 어려우므로 밑거름 사용량 증대 및 완효성비료 시용
○ 파종의 기계화 곤란으로 파종노동력 과다 소요
○ 일반재배보다 조기에 수확이 가능

110) 미니당근(baby carrot) 재배
○ 품종특성 : 당근 심이 적고 육질이 연하여 품질 우수
○ 이용 : 샐러드나 스넥류 등 가공품으로 많이 이용
○ 일반당근에 준하여 재배하나 재식밀도가 높고, 수확시기 70~80일로 조기 수확가능하나 일반당근에 비해 수량이 적음


2. 재배재배형태별 기술관리

1) 재배형태의 분화
○ 국내 국내 당근 생산 및 재배형태은 크게 4가지로 분류

재배재배형태 파종기(월) 수확기(월) 재배지역
가을재배(월동) 7~8 10~12(1~3) 전국(제주)
봄재배 3~5 7~8 전국
고냉지재배 5 8~9 해발 600m이상
하우스재배(터 널) 12~1월(1~2) 4~5월(5~6) 남해안, 제주

2) 봄 재배 기술
○ 파종기가 3월 중하순으로 발아에 오랜시일 필요 : 10℃때 파종적기
○ 생육초기 저온으로 초기 생육불량 및 장다리 우려 있음
○ 6~7월 장마기 고온다습으로 병 발생으로 품질저하
○ 장다리가 늦고 조생종 품종이 요구됨

3) 여름 재배 기술
○ 4~5월 파종, 8~10월 수확으로 평지에서 고온으로 재배 불가능 시기에 고랭지에서 재배하는 재배형태
○ 초기 저온으로 인한 장다리 위험 및 고온기 비대 양호한 품종 필요
○ 여름철 장마기 병해충 방제 철저히 해야 고품질 재배 가능

4) 가을재배 기술
○ 파종기가 여름으로서 발아 및 유묘기 고온피해에 주의
○ 발아율 향상 및 생육초기 지온을 내려주어야 함
○ 장다리 방지를 위해 본엽 3~5장 때 월동시키는 것이 좋음

5) 겨울 하우스 및 터널재배 기술
○ 부산, 양산 및 칠곡 등 낙동강을 중심으로 발달한 무가온 시설 재배형태
○ 터널안이 온도관리 중 한낮 고온 및 야간 저온에 유의하고
○ 저온기에 파종 및 초기 생육이 이루어지므로 장다리 및 내한성이 강하고 조생종 품종 필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